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동 스트레스'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느껴지는 진동이 불편하게 느껴지기 시작했다.우리나라 사람은 진동에 더 민감해 저가
항공
사 비행기의 터보엔진에는 프로펠러가 달려있어 진동이 크다. 게다가 비행기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기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렇다면 비행기의 진동 때문에 불쾌해지는 이유는 뭘까.세계보건기구(WHO)는 ... ...
[제 1 화]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평생 비행기 조종사로 일했다.젊어서는 공군에서 전투기를 몰았고 전역한 다음에는
항공
사에서 여객기를 조종했다. 20년 동안 단 한 번의 작은 사고도 없었다. 발병 후 고인은 비행기가 보이지 않는 심심산골로 들어갔다. 허공을 가르는 잠자리 날개만 보고도 눈물이 흘렀던 탓이다. 고인과 함께 석 ... ...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ESA)이 지난해 말 발사한 ‘코로트’(COROT) 우주망원경과 2008년 10월 발사 예정인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행성이 중심별을 가로지를 때 생기는 미세한 밝기변화를 측정해 외계행성을 찾는다.우리나라 과학자를 주축으로 이뤄진 외계행성탐색 프로젝트 ‘지구사냥꾼’(Earth Hunter ... ...
적을 무력화시키는 뜨거운 광선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비슷한 한 무리이다 대기권 외역(外域)에서 우주를 관측하는 망원경 구체적으로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스페이스셔틀로 발사한 구경(口徑) 24m의 광학망원경 지구를 덮고 있는 대기를 가시광선영역(可視光線領域)이나 전파 영역의 전자기파(電磁氣波)는 투과할 수 있으나 그 밖의 전자파는 ... ...
PART2 거침없이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지난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의 화두는 환경이었다. 각국의 정상과 기업 CEO들은 어떻게 하면 에너지 효율을 높여 오염을 줄일지 집중적으로 논의했다.지난 5차례 연설에서 한 번도 지구온난화를 언급한 적이 없는 미국의 부시 대통령도 이번 연설에서는 에너지 문제를 거론하며 ... ...
오로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마치 커튼처럼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 주는 오로라의 신비를 밝혀 내기 위해 미국
항공
우주국(나사·NASA)이 2월 중순‘테미스 프로젝트’를 시작한다.이 프로젝트는 인공위성 5개를 하늘에 올려 오로라에 숨어 있는 비밀을 파헤치는 것이다. 테미스는 질서, 율법을 뜻하는 말로 그리스 신화에서 하늘의 ... ...
과학자들의 이상기후에 대한 경고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이것은 플래스틱 내에서 철근의 역할을 하여 플래스틱을 강하게 만든다 그래서
항공
기나 자동차, 배 등의 몸체나 탱크, 파이프, 건축자재 등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성질의 재료를 필요로 하는 ... ...
PART3 똑똑한 자동차의 비밀 베스트7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대표적인 기술 7가지를 만나보자. 충돌 예방_레이더로 사고 피한다충돌 예방 장치는
항공
기의 레이더처럼 전파를 쏴 앞차와의 거리와 속도를 계산해 충돌이 예상되면 경고음을 내거나 속도를 줄인다. 2005년 메르세데스-벤츠가 선보인 ‘프로 세이프’(Pro-Safe) 시스템은 진동수가 24GHz(기가헤르츠, ... ...
대체 에너지 '에탄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철의 5배의 인장강도와 뛰어난 내열성을 가지고 있다 용도는 내마모재 자동차부품
항공
기의 강화플라스틱재료 등이다항성상 천체 강력한 전파를 내는 성운으로 지구로부터 멀어져가는 속도와 에너지가 큰 것이 특징이다별의 최종 단계에서 만들어진 중성자별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 ...
PART1 수돗물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그려주는 로봇이 개발돼 곧 시범사업에 들어간다. 연구를 맡은 한양대 이병주 교수와
항공
대 김병규 교수는 "기존의 내시경은 휘어진 관을 잘 통과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자동로봇은 자벌레처럼 유연한 몸으로 구부러진 급수관도 자유자래로 누빌 수 있다"고 말했다.'121서비스' 직접 출동해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