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토
자발
자율
자동권총
권총
자동선반
선반
d라이브러리
"
자동
"(으)로 총 2,39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및 음성인식의 연구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문자인식의 경우는 인쇄체 한글의
자동
입력은 제한적이나마 실용화되고 있고 필기체의 경우에도 필자가 제한되어 있을 때 높은 인식률을 얻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음성을 이용한 입출력시스템도 많은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많은 ... ...
말하는 컴퓨터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잔액조회나 증권시세를 예금구좌의 잔액조회나 증권시세를
자동
으로 알려주는
자동
응답시스템을 현재 운용하고 있다. 이것도 음성합성을 응용한 예이다.장난감이나 가전제품에도 간단한 작동으로 사람 목소리를 들려주는 등 음성합성은 그 연구가 진전될수록 응용분야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및 설계부품에 관한 연구도 많이 추진되고 있다고.북한의 전자분야 연구는 산업의
자동
화 원격조종화 산업TV화를 적극 추진하기 위해 활발히 진행중이나 수준은 낮은 편. 반도체 전자소재 소자의 연구, 주파수증폭기 전압안정기 전산기기억장치 등 기기류개발에 관한 연구가 추진중. 기기연구는 ... ...
PART Ⅱ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원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s Report, 1988년 12월)에 따르면 1990년6월에 디즈니랜드에서 디트로이트까지 주행하는 태양
자동
차경주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라고 한다.태양광 우주발전소도 계획중대규모 태양광발전소는 현재 5~6MW급 규모까지 확대되었다. 이러한 대규모 발전소는 태양전지 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는 대량 생산체제를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자시계의 알람(alam), TV의 리모트컨트롤, 부저(Buzzer),
자동
차가 후진할 때 내는 합성음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처럼 압전 세라믹스는 우리의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의학 진단용으로도 이 압전체를 이용한 초음파 발생기가 사용되고 있다. 몸의 각 부분의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생물반응기를 컨트롤해주는 제어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또 특정물질의 농도를
자동
으로 측정·분석해주는 바이오 센서(bio sensor)의 개발도 중요한 분아랴 할 수 있다.단백질공학을 이용해 인공적으로 새로운 단백질을 합성하는 연구도 최근 주목받고 있다. 또 생물환경공학을 응용한 공업폐수처리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다시 설계하여 원하는 기능을 가지는 IC를 제조한다.이때 금속선만을 바꾸기 때문에 좋은
자동
설계 프로그램을 만들기 쉽고, 따라서 설계자는 전주문형이나 스탠더드 셀 방식보다 짧은 시간에 설계를 마칠 수 있다. 또 IC 제작의 경우도 미리 트랜지스터가 만들어진 웨이퍼를 사용하므로 적은 수의 ... ...
실생활에 긴요한 제품의 홍수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조정기등 많은 제품들이 있었다.우리나라 제품중 대우 전자의 DVM-239FVHS 비디오 카메라는
자동
포커스가 내장된 형식으로 좋은 반응을 보여주었으며 삼성 전자관에서 보여준 실내용 골프 연습 촬영시스팀은 많은 골퍼들의 시선을 모으기도 했다.삼성 물산이 내놓은 35mm AF-300과 SF-250 등도 좋은 반응을 ... ...
물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놓은 종을 쳐서 시간을 알린다. 경(更)과 점(点), 인경과 바라도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이
자동
시보장치는 1653년(효종4)에 새 역법에 따라 1일 96각제의 시제로 바뀌면서 쓸모가 없게 되자 제거되었다. 그러나 물시계 부분만은 그대로 사용했다. 다시 옛날 방식대로 사람이 지켜보고 시간을 직접 알리는 ... ...
걸어다니는 로봇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걸음마를 시작한다. 머리부분에 장치된 시각감지기(카메라)가 눈앞의 물체를
자동
으로 식별함으로써 목표 점을 향해 움직여 갈 수 있다. 덩치는 감당하기가 힘든 듯 걸음걸이는 매우 느리다. 키의 3분의 2가 넘는 70cm나 되는 긴 다리를 5cm 높이로 들어올려 나아가지만 보행속도는 분당 33cm에 불과하다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