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실어 올리며 달 탐사에 본격적으로 뛰어 들었다. 가구야는 2년 동안 달 주변을 돌면서 선명한 HD 영상을 전송했다. 또 ‘지형 카메라(Terrain Camera)’를 이용해 달 전체의 3D 지도를 완성했다. 그 과정에서 32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용암의 흔적도 찾아냈다. ● 2008. 10. 22 직접적인 물의 증거를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난 해였다. 포항과 가까운 대구에 있던 하 씨도 독서실 조명이 흔들리는 걸 보고 지진을 체감했다. 그는 “당황하지 않고 수능이 연기된 걸 오히려 기회로 삼았다”고 말했다. 친구들과 연기된 시험일까지 남은 기간을 어떻게 보낼지 빡빡하게 계획을 세운 뒤, 바로 ... ...
- [퍼즐마스터] 사라진 ‘Mr.퍼즐’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세계 퍼즐 챔피언을 꿈꾸는 퍼즐 꿈나무 천하. 세계 퍼즐계의 아이돌 Mr.퍼즐을 스승으로 모시고 실력을 갈고 닦은 지 3년. 어느 날 Mr.퍼즐이 이메일 한 통을 남기고 사라졌다. “세계 퍼즐 고수 12명과의 대결에서 이기면 나를 찾을 수 있을 거다.” 사라진 ‘Mr.퍼즐’을 찾아라!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화분매개자 6종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거예요. 6종 중 3종 이상의 활동 기준을 만족해야 생명다양성재단에서 발급한 지사탐 수료증을 받을 수 있답니다. 종 하나를 수료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닌데 6종을 모두 수료한 팀이 5개나 됐어요. 꿈꾸는지구, 닥터구리, 발자국, 준형제, 푸른누리탐사대팀이 그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지진계 만들기 - 흔들흔들, 진동을 기록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난 2017년 11월, 경북 포항에서 일어난 규모 5.4의 지진을 기억하나요? 지진은 포항에 큰 피해를 입혔을 뿐 아니라, 멀리 떨어진 수도권 지역도 흔들어 많 ... 지진계의 원리를 이해하게 됐다”며 “지진계를 집에 가져가서 가족에게 지진계의 원리를 설명해줄 것”이라고 뿌듯해했답니다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 있는 비주얼 콘셉트 기획-감독, 연출가와 장면마다의 시각적 요소(인물, 사물, 조명, 의상 등) 배치 총괄-그래픽 디자인을 기본으로 사진, 스타일링 등 전체 비주얼 스토리 생성 비주얼 디렉터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추천 영상 : 다큐멘터리 ‘제작자에게 직접 듣는 토르 라그나로크의 제작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발휘해 보세요!” 2021년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80여 개 기관 1000명의 개발진이 힘을 모으고 있어요. 발사체와 희노애락을 함께한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봤어요! Q1 시험 발사를 준비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가요?Q2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개척한 ‘장건’ | 기원전 139년, 지금의 중국에 자리 잡은 한나라 외교관 장건이 100여 명의 수행원과 함께 서쪽으로 떠났다. 하지만 흉노에게 붙잡힌 장건은 13년 동안 흉노와 함께 지내면서 서방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후 한나라로 돌아온 장건은 다른 나라의 문물을 한나라에 전달했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컴퓨터 화면에 해당 문자가 나타났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완성한 모스 전신기로 두 명씩 짝을 이뤄 여러 게임을 즐겼어요. 그중 하나는 ‘SOS’와 대응되는 모스 부호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하는 사람을 뽑는 게임이었지요. 친구들은 컴퓨터에 제대로 SOS 문자가 나타나는지 확인해 승자를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위기’가 닥칠 거라 예상되기 때문이에요. 국제연합(UN)은 2050년 세계 인구가 97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어요. 이처럼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옥수수와 밀 등 주요 식량을 생 산하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2017년 미국과학원 회보는 논문 70여 편을 분석해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