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문화를 업무에 도입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셈이다. 좋은 시스템 덕분인지 사이먼스가 설립한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는 최근 15년 간 두 달을 제외하고는 돈을 잃어 본 적이 없을 정도로 승승장구 하고 있다. 대표 펀드인 메달리온 펀드는 1988년 출범 이후 30년 간 연평균 30%에 달하는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얼음왕국에서 피겨 요정되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힘이에요. 이 힘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며 얼음이 녹아 물로 변하지요. 그러면 물 층 덕분에 마찰력이 줄어들어 더 쉽게 미끄러진답니다. 특히 날이 두꺼운 피겨용 스케이트는 열을 전달하는 효율이 다른 스케이트보다 낮아요. 이러면 압력으로 생긴 열이 스케이트 날에 흡수되지 않고 얼음판 위에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인류의 조상인 유인원이 등장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나는 인류의 직립보행도 꽃 덕분에 얻어낸 특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1000만 년 동안 기후가 서늘해지면서 꽃식물은 나무가 드문 초원 지대를 만들었습니다. 포식자를 피하고 먹이를 찾기 위해 인류의 조상은 두 발로 일어서야 했을 ... ...
- [hot science] “그녀를 사랑한다면, 함께 맞으세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몸에 주입해, 질병에 저항할 수 있는 항체를 만들게 하는 질병 예방 방법이다. 백신 덕분에 세계보건기구(WHO)는 1979년, 천연두가 완전히 사라졌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결핵,뇌수막염, 소아마비, 디프테리아, 수두, 홍역 등 수많은 백신이 개발돼 있다.전세계에서 두 명 중 한 명은 감염된다는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벼는 오늘날 세계 곡물 생산량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간들이 다양한 품종을 개발한 덕분에 지난 30년동안 수확량이 그 이전보다 두 배 증가했다. 야생의 꽃식물과 비교하면 엄청난 번식력인 셈이다. 밀은 유럽인을 선택했다. 온난한 유럽 기후에서 밀이 살기 쉬웠기 때문이다. “(빵이 없으면) ... ...
- 연구팀에게 보내는 헌사-그들의 강철심장은 빅뱅보다 위대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교수라기보다는 적의 해변에 상륙을 시도하는 해병대장처럼 보였다. 그런 팀에서 성장한 덕분일까. 수줍은 학생 티를 벗은 존 코백은 단호한 모습이었다. 신출내기 박사에 불과했지만 다른 연구자들의 태도로 미뤄 그가 받는 신뢰를 느낄 수 있었다. 내 견해로는 이 연구팀은 주류 연구자들이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좌표를 처음 도입한 사람은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다. 그 덕분에 함수를 손쉽게 그래프로 그릴 수 있게 됐다. 그렇다면 그는 어쩌다가 좌표를 떠올리게 됐을까? 그 답은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함수와 그래프 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데카르트의 일화는 이렇다. ‘몸이 ...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빠른 속도로 달릴 때 생기는 원심력을 이기는 훈련을 고무벨트로 대신하는 거죠. 덕분에 한국 선수들은 코너를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어요.스케이트 장비가 승부를 결정짓는다?속도와 순위 경쟁을 하는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은 선수들이 신는 스케이트도 중요해요. 스케이트를 만드는 기술이 ... ...
- [화보] 건축, 수학으로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기름을 넣는 공간에 이르기까지 일상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건축물들이 수학 덕분에 특별한 곳으로 변했다. 수학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건축물들을 만나 보자.도형을 닮은 건축1958년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서 열린 세계 박람회에 독특한 건물이 지어졌다. 바로 쌍곡포물면의 구조로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뜯어먹어야 했다. 키가 작으니 팔을 뻗어 잡는 수밖에 없어서 자연스럽게 팔이 길어졌다. 덕분에 나뭇가지에 기어 올라가 열매를 따먹기도 쉬워졌다. 나무 열매가 부족하면 땅 속에 숨어 있던 열매를 파내거나 뿌리를 캐먹었다.길어진 팔은 추운 겨울을 나는 데도 도움이 됐다. 겨울 동안 살 마땅한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