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눈이다. 습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눈을 뭉쳤을 때 눈 사이의 빈 공간을 습기가 메운 뒤
다시
얼어 눈이 잘 뭉쳐지기 때문이다. 영하 10℃ 이하에서 만들어지는 건설은 습기가 부족해 ... 공기가 만나는 부분에서 구름이 생겨 만들어지는데, 찬 공기와 함께 구름이 지나간 뒤,
다시
따뜻한 공기가 ... ...
수학으로 물리친 3D 스노우어드벤처 눈의 여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만약 여왕이 이 마법거울을 마주하게 되면, 여왕이 사라지는 것은 물론
다시
따뜻한 세상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여왕은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 ... 잃지 않는 방법을 알려 주려고 이렇게 편지를 보낸다. 부디 꼭 기억해서
다시
따뜻한 세상으로 만들어 주렴.눈밭에 새겨지는 발자국처럼 한 선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자극을 찾아 불화를 일으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리고 이 불화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면
다시
새로운 불화가 더해지는 패턴을 발견했다.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교도소의 상태가 불온한지, 평온한지를 결정하는 주요 원인으로 긴장과 불화를 손꼽았다. 그리고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적용해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하다.공중전이 일어난다면 어느 쪽이 더 셀까처음의 질문으로
다시
돌아가 보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만약에, 무인전투기와 유인전투기가 공중에서 서로 맞붙는다면 어떻게 될까. 현재로선 유인전투기가 무인전투기에게 백전백승 할 것 같다.앞서 말했듯이 아직까지 ... ...
노벨상 탈 논문 여기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자료는 많은데 이론적으로 제대로 연구된 자료는 거의 없었다. 찾은 자료들을 모두
다시
해석해야 했다. 초고속 카메라 자료를 해석할 때 0.04초 차이로 실험 결과가 완전히 다르게 나오기도 했다.“모델을 한번 해체하고 조립하는 데 1시간도 넘게 걸렸다”는 김강희 학생의 말처럼 실험은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선수말을 이동시킨 뒤(2) 경주마를 이용해 돌아오고(1), 경주마와 회사원말을 이끌고
다시
성광이네로 간다(4).
다시
경주마를 타고 돌아온 뒤(1), 경주마와 양반말이 성광이네로 간다(6). 그러면 총 2+1+4+1+6=1 ... 서로 모두 몰라야 한다니까. 조정치와 노홍철은 이미 아는 사이잖아. 얼광이는 파티 전에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목욕 이야기가 나왔으니 욕실로 시선을 돌려보자. 주말마다 꾸준히 청소를 해도 항상
다시
생기는 것이 있다. 도자기로 만들어진 세면대(혹은 욕조)표면에 찰싹 달라붙어 있는 정체불명의 물질. 보통은 색 없이 묻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붉은 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 곰팡이는 아닌 것 같은데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때문에 “채식은 역시 지속가능하지 않고 부자연스러운 식생활이다”라고 생각한다면
다시
생각해보자. 방금 한 조언 가운데 육식인에게도 똑같이 해당되지 않는 조언은 없으니까. ‘건강한 육식인’이 되는 방법과 ‘건강한 채식인’이 되는 방법은 비슷하다.‘하기만 하면 무조건 건강해지는’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날아올랐던 새들이 약속이라도 한듯 한 순간에 사라져버렸다. 황금빛 갈대숲에는 또
다시
새는 없고 새 소리만 남았다.한국과 중국이 함께 지켜야할 황해동탄 습지를 방문하기 하루 전인 11월 28일. 중국 상하이시 에펠톤 호텔에서 제4회 황해생태지역 한·중 교류포럼이 열렸다. 이번 포럼은 ... ...
용의자 X의 수학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느껴진다. 하지만 300년이 지난 지금에도 완벽한 답을 줄 수 없어 증명할 수는 없다.
다시
수학 난제의 역사를 보자. 수학의 명장 힐버트가 1900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세기를 선도할 수학문제 23가지를 제시한다. 이후 약 100년 동안 힐버트의 문제는 과학과 수학의 획기적인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