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d라이브러리
"
꿈
"(으)로 총 2,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맨은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슈퍼맨은 커다란 버스도 들고 달리는 기차보다 빨리 달릴 수 있다. 슈퍼맨은 어떻게 이처럼 강할까.웬만한 독자들은 이 질문에 답할 수 있다. ... 20년 동안은 과학에서 마법으로 추가 왔다갔다했다. 만화 애독자거나 슈퍼영웅에 대한
꿈
을 간직하고 있는 독자라면 더욱 흥미있게 읽을 수 있다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라운지에 앉아서 별빛처럼 반짝이는 도시의 야경을 즐겼다.”1909년 첫 초고층 건물 등장
꿈
을 꾸고 있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위에서 묘사한 ‘초고층 생활’은 가까운 미래의 일상적인 생활이며 절대 공상이 아니다.10여년전 일본에서는 현재 가능한 모든 기술을 동원해 초고층 빌딩을 설계한 적이 ... ...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난 11월 5일 울산 앞바다 동남쪽 58km 해상에서는 ‘동해1 가스전’이 준공됐다.한국이 드디어 첫 유전 시설을 완공하며 마침내 산유국의 대열에 들어선 것이다. 1964년부 ... 나눠 또다른 유전을 찾고 있다. 적극적으로 석유 탐사를 계속한다면 앞으로 2호, 3호 유전의
꿈
이 이뤄질 것이다 ... ...
최고권위의 발명 사이트 - http://web.mit.edu/invent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Kidindex.html 특허청에서 어린이들에게 발명의
꿈
을 키워주기 위해 개설한 홈페이지가 발명
꿈
나무이다. 특허는 왜 필요한 것일까. 이 사이트에서는 좋은 발명품을 발명하고도 특허를 받지 않아 피해를 본 사례를 동화로 꾸며 특허의 중요성을 설명한다.이곳에서 관심가지고 볼 코너는 발명첫걸음,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개발에 돌파구가 될 전망이다. 잠재력 무한한 NBT 이번 특집에서는 이런 미래의
꿈
을 실현시키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고 있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현주소를 소개한다. 생체분자를 모방하거나 그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만든 분자기계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과연 이들이 영화에 나오는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제 집에 가야지. 오랜만에 등산하니까 피곤했구나. 얼른 내려가자.모험이 : 아~함. 내가
꿈
을 꿨나?▶▶▶ 종이배와 그림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수조의 위쪽에서 종이배와 플라스틱 컵의 그림을 관찰하면 감쪽같이 사라져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수조의 옆에서 보면 종이배와 컵의 그림이 다시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크기까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해보기도 한다. 이런
꿈
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분자나노과학자들의 연구결과는 현재 어디까지 와 있을까.기능적인 면에서 완벽한 역할을 하는 나노기계를 우리 주위에서 발견할 수 없을까? 우리 주위에서는 발견할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자연사박물관에 비례한다고 하잖아요. 어린이와 청소년이 이곳에 와서 과학에 대한
꿈
을 키울 수 있도록 좋은 그릇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국내 자연사박물관 백배 즐기기목포자연사박물관에는 디플로도쿠스라고 하는 26m 길이의 초식공룡이 있다. 몸무게는 코끼리 2마리 정도로 무겁지 않은 편.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최소단위를 찾고, 이들을 묶는 기본 힘에 대한 이론을 찾아내는 것은 물리학자들의
꿈
이다.그렇다면 물질의 최소단위는 무엇일까? 쿼크다. 쿼크는 1964년 미국의 물리학자 머레이 겔만이 최초로 그 존재를 주장했고, 겔만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196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그렇다면 쿼크와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바탕으로 더욱 많은 아이디어가 약물전달시스템에 등장할 것이다. 그 결과 언젠가는
꿈
의 약물전달시스템인 나노로봇이 실현될 것이고, 이는 질병치료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많은 젊은 과학자들이 이 분야에 도전해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상황이 ‘본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게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