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비를 뿌려 대지. 태풍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 텐데….
국립
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이용희 박사님께 방법을 여쭤 보도록 해.태풍은 중심 풍속이 초속 17m가 넘는 강한 폭풍우를 동반한 열대저기압을 뜻합니다. 적도 부근의 바닷물 온도가 27℃가 넘는 지역에서 생긴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돼요. 기상청에서 지진담당 업무를 하는 사람들도 많지 않고요. 기상청에 약 20명이 있고,
국립
기상연구소에 저를 포함에 2명이 있죠. 그만큼 지진에 대해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뜻이에요. 우리나라는 판의 중간에 있어 판과 판 사이에 위치한 일본에 비해 지진이 일어날 확률은 매우 낮아요. ... ...
천왕성, 해왕성에 다이아몬드 보물섬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액체 다이아몬드로 가득 찬 다이아몬드 바다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
국립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 존 에거트 박사팀은 다이아몬드가 고체에서 액체로 녹는 순간의 온도와 압력 조건이 두 행성의 환경과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1월 1일에 발행된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것은 생태계를 파괴시킬 수도 있는 위험한 일이다. 일본 정부는 1972년 이리오모테 섬을
국립
공원으로 지정해 채집과 수렵 행위를 일절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섬의 생물들은 이동 중에 우연히 마주치는 것으로만 만족해야 한다. 기자도 기왕 이리오모테 섬에 왔으니 유명한 이리오모테 살쾡이를 꼭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시스템을 컴퓨터로 연구하는 ‘바이오시뮬레이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은
국립
보건원(NIH) 주도로 다양한 학문으로 생명을 이해하려는 ‘멀티스케일 모델링 구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유럽연합(EU)은 ‘환자 맞춤형 컴퓨터 모델’을 만들어 맞춤의약을 연구하고 있다.고교 문·이과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응원가가 문득 떠오르는 것, 바로 인간이 ‘호모 무지쿠스’라는 증거다.한국의 공룡화석
국립
문화재연구소 편 | 궁리 | 297쪽 | 5만 원페이지마다 커다란 컬러 화보가 시원하게 눈에 들어온다. 국내에서 발견된 공룡화석이다. 경남 고성에서 발견된 새와 공룡의 발자국 화석부터 경남 하동의 공룡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의 경우 수백 건의 줄기세포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데, 미국
국립
보건원(NIH)은 임상시험현황사이트에서 어디서 어떤 임상이 진행되고 있고 어떤 환자를 모집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이곳에는 우리나라에서 진행하는 임상시험 정보도 포함돼 있다. 사실 ... ...
네안데르탈인, 미적 감수성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4만 5000~5만 년 전 것으로 확인돼 현생인류가 이 지역에 도달하기 전 유물이라고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 1월 11일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이 유물들은 당시 그곳에 살던 네안데르탈인이 남긴 것들로 아마도 목걸이용 장식이나 안료단지로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질아요 교수는 “조개의 구멍은 ... ...
최강! 로봇 원정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도움으로 열린 제1회 ‘꿈나무 로봇 원정대’ 행사는 2009년 12월 24일부터 27일까지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진행됐답니다. 어린이들이 사람을 닮은 휴머 노이드 로봇 ‘휴노’를 직접 조립해 보고 조종하면서 미래로봇 과학자의 꿈을 키울 수 있었던 행사였어요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중 1대는 달리기 연구에, 1대는 시스템 안정화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나머지 1대는 미국
국립
과학재단(NSF)에 연구용으로 빌려줬다. 연구팀은 현재 달리기 연구용 휴보를 분해해 달리는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날 실험대(?)에 오른 휴보2도 달리기 연구용이었다.케이스를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