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주택용 에너지 계산자 개발과학동아 l1988년 03호
- 없다면 한번씩 단위 부문의 설계를 변경하는데 전문 수학식을 알아야 하고, 또한 공식을 안다고 해도 계산량이 엄청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허비된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계산상의 허비를 막기 위해 많은 종류의 컴퓨터프로그램이 개발돼 있으나, 컴퓨터시스팀이 갖추어져야 하고 데이타의 작성, ... ...
- 흔하지만 가볍게 볼 게 아니다 감기의 예방과 치료안내과학동아 l1988년 02호
- 후생성에서도 감기예방을 위해서는 비타민C의 대량투여를 더 이상 권장하지 않는다는 공식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이것은 감기에 비타민C가 해롭다는 뜻이 아니고 감기에 걸렸을 때 싱싱한 과일을 먹는 등 적당량의 비타민C 섭취로 충분하며, 하루 필요량의 10~15배씩 투여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법칙을 수정하려는 물리학자들의 시도는 중력을 다른 힘들과 하나의 수학적 공식으로 통일시키려는 통일이론을 찾는 과정에서 출발했다. 이미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일적으로 기술하는데 성공했고, 나아가 여기에 강력을 추가로 통합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하다. 그러나 아인슈타인 자신도 큰 관심을 ... ...
- 한종하 박사에게 들어본다 주입식교육, 언제까지나 계속할것인가과학동아 l1988년 02호
- 교육방식입니까? 게다가 주입식 교육으로 얻은 지식은 쉽사리 잊혀집니다. 뜻도 모른채 공식만 외어 문제를 푼다해서 무슨 도움이 되겠읍니까. 그런데 아무도 이런 '밑지는 장사'를 고치려 하는 사람이 없읍니다. 그러면서도 뉴턴이나 아인슈타인같은 대과학자가 나오길 바란다는 것은 애당초 ... ...
- 초전도의 열풍 아담한 슈퍼컴퓨터도 가능하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초전도체컴퓨터를 위한 기초조사를 하고 있는 정도이다. 이들 이외의 대부분은 적어도 공식적으로는 방관적인 자세다. 슈퍼컴퓨터로 유명한 크레이리서치사 미니컴퓨터의 대명사 DEC, 반도체계의 거성 인텔 등이 그 전형이다. "초전도 현상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적극적인 연구는 ... ...
- 젊은 과학도들이 일으키는 신선한 바람 엘리트로 자족해선 안된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의료문제중의 하나는 산업재해와 직업병.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산업재해는 날로 증가해 공식적인 통계에 따르더라도 80년부터 86년까지 1만여명의 근로자가 사망했고 96만여명이 부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식적인 안전장치, 열악한 작업환경속의 장시간 노동은 여전해 산업재해는 줄어들 ... ...
- 흥미있는 컴퓨터 체스 2천3백점대의 챔피언 「하이테크」과학동아 l1988년 01호
- 거장 '스파스키'와 비김으로써 주목을 받았던 소년이었다. 하이테크는 이전의 비공식 게임까지 합쳐서 라오와 두번 맞붙었는데 두번다 고배를 들어야만 했다. 하지만 하이테크로서는 그것이 유일한 패배였다. 위 성적을 보면 하이테크의 점수는 2천4백점 정도로 볼 수 있고, 실제 게임 운영 성적까지 ...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과학동아 l1988년 01호
- 과정을 '펜로즈 과정'(Penrose Process)이라 부른다. 추출된 질량은 아이슈타인의 유명한 공식 E=mc²(E는 에너지, m은 추출된 질량, c는 광속도=3×${10}^{10}$cm/sec)을 통하여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거대한 커 블랙홀은 어마어마한 에너지의 보고 그 자체인 것이다. 예를 들어 태양질량의 1억배가 되는 ...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연구 그룹을 형성했다. 로스 알라모스의 실험실은 컴퓨터로 가득차있고 '발생(発生)의 공식은 무엇일까'를 알기위해 컴퓨터단추가 닳아질만큼 눌러대고 있다. 그들은 생명의 정의에대해 문제를 안고있지만 유기체가 물질과 에너지를 진행시키고 자신을 복제하며 또 진화시켜나가는 능력을 생명의 ... ...
- 레이저 개척자 「굴드」특허 획득과학동아 l1988년 01호
- 2년뒤인 1959년에야 특허권을 신청했다. 그동안 '벨'연구소 연구원들이 레이저에 관해 공식 발표를 해서 '굴드'의 공로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속해 있던 TRG회사는 '굴드'의 아이디어로 펜타곤과 계약을 맺고 이미 레이저빔의 개발에 착수하고 있었으며 '굴드'는 그런 사실도 모르고 있었다.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