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계단과 무빙워크 중 전자 궤도를 닮은 것은?
과학동아
l
200607
종류의 물질에서 여러 가지 색깔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원자핵에서 전자까지의
거리
에 따라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다른 까닭은 높은 상태와 낮은 상태의 에너지 차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물질의 높은 상태의 에너지와 낮은 상태의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면 그 물질에서 방출되는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
세종 19년(1437) 오랜 연구끝에 앙부일구가 완성되자, 세종은 서울 혜정교와 종묘 남쪽
거리
에 돌로 대를 쌓아 그 위에 앙부일구를 설치하고 백성들이 오가며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세종은 글을 모르는 백성도 시간을 알 수 있도록 시간마다 쥐, 소, 호랑이 같은 12지의 동물 그림을 그려 넣었다.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06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20년 졸업과 동시에 그의 조수가 되었다 인공위성을 이용해 원
거리
해양에 직접 가지 않고 관측하는 시스템 데이터 수집위성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해면의 부표(浮標)나 기구(氣球), 또는 동물 등에 부착시킨 발신기에서 발사된 전파를 인공위성이 수신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를 ... ...
2. 거꾸로 휘는 바나나킥
과학동아
l
200606
이 구간은 킥을 한 지점에서 10m
거리
까지다. 강한 슛을 날리는 선수의 프리킥은 약 9m
거리
까지가 이 구간에 해당한다.이 구간에 수비벽이 있다면 강한 공에 맞은 사람은 위험할 수 있다. 프리킥에서 수비벽이 9.15m 떨어져야 한다는 규칙은 강한 슛을 날리는 선수를 기준으로 해 수비선수를 보호하려고 ... ...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606
월드컵에서도 북은 대한민국 응원단의 필수품이다. 경기장에 직접 갈 수 없다면 ‘길
거리
응원’이라도 좋다. 웅장한 북소리와 함께 가슴 떨리는 짜릿한 순간을 다시 한 번 느껴보자 ... ...
논리는 수학자의 친구
과학동아
l
200606
C지점까지는 약 1만4142원(=√2만원)의 요금이 든다. 운전기사가 생각하는 1만원 이내의
거리
는 A지점을 기준으로 동서남북의 꼭지점을 갖는 마름모형 자인 셈이다.공간을 3차원으로 옮기면 단위자는 입체로 바뀐다. 이때 입체가 볼록하며 어느 방향으로든 대칭이면 ‘바나흐 공간’을 만드는 단위자가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06
인도한 것은 사진관 동료다. 바너드의 동료는 그에게 망원경을 선물했다. 그 망원경은
거리
에서 구한 깨진 작은 렌즈를 마분지로 만든 경통에 끼운 소형 굴절망원경이었다. 바너드는 이 망원경으로 별을 봤지만 지식이 거의 없었던 탓에 그 별이 무엇인지 알 수 없었다.그러나 천체에 대한 바너드의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06
주변 탐색에 나섰고, 포시에트 항구 인근의 지신허에서 조선주민을 발견한 것이다. 실제
거리
상 지신허 지역은 포시에트 항구와 가까워 충분히 걸어서 다닐 수 있는 곳에 있다.그렇다면 당시 러시아인이 지신허의 조선사람을 문서기록으로 남긴 이유는 뭘까. 이는 러시아인이 조선인의 첫 이주를 ... ...
바닷속 우리 땅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06
삼천리 화려강산’이라는 구절이 나온다.삼천리는 한반도 남쪽 끝에서 북쪽 끝까지의
거리
를 말하는 상징적인 뜻으로 우리나라 땅 모두를 의미한다. 하지만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우리 땅이 있다.바로 바닷속 깊이 숨어 있는 해저지형들이다.수년의 조사와 연구 끝에 이제 우리 이름의 해저지형이 ... ...
태권V 이단옆차기 하려면?
과학동아
l
200606
정밀 관성센서, 힘/모멘트 센서들이 필요하다. 또한 실시간으로 사물과 사물의 속도,
거리
등을 인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듬도 개발해야 한다.매우 역동적으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동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거대 로봇은 한번 넘어지면 엄청난 충격을 받기 때문에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