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아들 잃은 슬픔 수학이 치유해줬죠"
수학동아
l
2014.03.10
딸이 앓고 있는 자폐증의 원인을 밝히는 연구에도 기부하는 것은 물론 가족 유전자(
DNA
)를 연구용으로 제공하기도 했다. 도전과 열정으로 점철된 그의 드라마틱한 삶의 이야기는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 당일인 8월 13일 오후 8시 서울 코엑스에서 펼쳐진다. 참가를 원하면 누구나 무료로 참석할 수 ... ...
원하는 곳만 콕 집어 ‘싹뚝’…유전자가위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4.03.09
내놓았다. 독일 물리학자 막스 폰 라우에가 1912년 처음 개발한 이 기술은 1952년
DNA
의 구조를 밝혀내는 데 쓰인 것은 물론 1982년 결정구조와 비결정 구조의 중간 단계라 할 수 있는 ‘준결정’을 밝히는 데도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X선 회절분석기법을 이용해 나온 노벨상의 개수는 지금까지 2 ... ...
사라지고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14.03.06
아메리카인 등 현대인의 게놈 1004명의
DNA
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네안데르탈인의
DNA
를 추적한 결과를 네이처 1월 3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몇 개의 질병 유전자와 털과 피부 등에 관여하는 케라틴 유전자 일부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왔다는 사실을 밝혔다. 털과 피부색은 아프리카에서 ... ...
바코드 찍듯 암·신종플루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쉽게 검출 할 수 있다”며 “바코드
DNA
에는 수백~수천 개의 miRNA를 감지할 수 있는
DNA
염기서열이 집약될 수 있어 신종플루나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박테리아의 조기진단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 달 26일 ... ...
남아가 여아보다 자폐증이 많은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약학과 교수팀과 함께 자폐증 환자 1만 6000명과 자폐를 겪는 구성원이 있는 600가구의
DNA
를 분석했다. 그 결과, 비슷한 수준의 자폐 증세를 가진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더 많은 자폐 관련 유전자가 발견됐다. 자폐 관련 유전자의 양이 비교적 적을 경우, 남성은 자폐 증세를 보이는 반면 여성은 ... ...
게이 성향은 ‘타고 난다’
과학동아
l
2014.02.27
주장이 나왔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심리학과 마이클 베일리 교수팀은 게이 남성 400명의
DNA
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인 유전자 표지를 X염색체와 8번 염색체에서 각각 발견했다고 밝혔다. 특히 X염색체에서 찾은 ‘Xq28’은 염기쌍 800만 개로 이뤄진 유전자 표지로 1993년 미국국립암협회의 딘 해머가 ... ...
美 부모가 3명 ‘맞춤형 아기’ 탄생할까
동아일보
l
2014.02.27
일고 있다. FDA는 25, 26일 수십 명의 생식의학 전문가들을 초청해 여성 2명과 남성 1명의
DNA
를 이용한 아기 시술을 논의하는 회의를 열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5일 보도했다. 흔히 ‘맞춤형 아기’ 또는 ‘디자이너 베이비’로 불리는 ‘부모 3명 아이’ 시술법은 선천성 질환 예방 목적으로 2명의 ... ...
우리나라 세균 신종등록 '금메달' 감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종을 구분하기 어려운 세균의 정의를 보완하고 배양이 어려운 흙 속 대부분 세균의
DNA
를 직접 뽑아내는 ‘메타게놈’ 연구를 해나가는 방식으로 신종 세균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활성산소가 신경세포 죽여 치매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활성산소를 만드는 효소인 ‘NOX1’이 지방이나
DNA
에 산화를 일으켜 해마의 신경세포를 죽게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실제로 뇌에 혈류가 잘 통하지 않게 조작한 쥐를 조사했더니 NOX1의 양이 많고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중 미로를 헤쳐 나오는 데도 ... ...
DNA
나노필름 한 장으로 '암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구조체의 모양에 따라 체내에서 항암제 방출 속도가 달라진다는 말이다. 홍 교수는 “
DNA
나노필름을 이용한 스마트 항암제 전달체 개발 등 후속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기존 약물 전달체나 의료기기에도 접목할 수 있어 응용범위가 넓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