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도성 고분자로 플렉서블 투명전극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높이려면 PSS를 최대한 녹여 PEDOT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PSS를 녹인 용액에 1064
나노
미터 파장의 적외선 레이저를 쏘면 PEDOT이 열을 먼저 흡수해 온도가 올라가고 이 때 둘러싼 PSS가 전선 피복이 녹는 것처럼 PEDOT이 다량 노출돼 전도도가 높아지는 원리다. 전도성 고분자와 적외선 레이저로 ... ...
한국 빛낸 산업기술에 접는 디스플레이·200년 버티는 콘크리트 등 15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96단 4D로 단수와 차원이 업그레이드됐고, 또 최초로 시스템반도체에서 EUV를 사용해 7
나노
를 구현한 기술이 선정됐다. 반도체 분야의 가파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삼성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갤럭시폴드다. 지난해까지 두 해 연속 OLED 기술이 산업기술성과에 선정된 반면, 올해는 ... ...
항체 잡는 '빛 스위치'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말했다. 연구팀은 비슷하게 빛 대신 라파마이신이라는 화학물질을 가하면 GFP
나노
바디가 합쳐져 활성화되는 ‘케모바디’ 기술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소드’ 15일자에 발표됐다. ... ...
줄기세포 기능 촉진하는 원천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 지난달 13일자에 발표됐다.
나노
바늘구조 지지체 제작 과정과 전자현미경 이미지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 ...
세계 최고 수소연료 저장기술·박막트랜지스터 등 국가R&D 우수성과 100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최우수 성과로 선정됐다. 기계 소재 분야 최우수 성과인 이태우 서울대 교수팀의 ‘유기
나노
소재 기반 생체모방형 인공신경 개발’은 신경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치매 등 난치병 치료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00가지 우수기술을 분야별, 연구단 유형별로 분류했다. 올해는 일본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국립유대인연구센터의 존 캐플러 교수 및 필리파 매랙 교수가 권위자다. 물리학에서는
나노
(10억분의 1)와 양자처럼 아주 작은 세계의 비밀을 밝힌 연구가 주요 수상 후보로 점쳐지고 있다. 현존하는 최고 슈퍼컴퓨터보다도 뛰어난 양자 컴퓨터공학, 혁명적인 차세대 물질로 손꼽히는 그래핀처럼 ... ...
손톱만한 뇌, 손바닥 크기로 부풀려 초미세 세포구조 정밀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현미경을 써왔지만, 확대해 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수십 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를 갖는 세포 속 소기관이나 유전물질(DNA), 미세소관 등의 단백질 구조는 전통 현미경으로는 직접 볼 수 없다. 201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이 조직에 빛으로 에너지를 ... ...
양자 광원 제어 기술개발로 양자컴퓨팅 시대 앞당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양자 광원을 제작하고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양자 광원은 반도체에서
나노
크기의 물질이 불연속적인 전자 에너지 구조를 가지면서 방출하는 광자를 말한다. 김제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원자 한 개 수준의 두께인 아주 얇은 '이차원 반도체 물질'과 부분적으로 힘을 ... ...
한 걸음 떼는 동안 열 걸음 도망간 일본 "韓日 기술격차 더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다시 드러났다. 반면 한국은 같은 기간 전체 기술 수준은 3.3%p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나노
및 소재 분야는 0.9%p 향상되는 데 그쳐 소재 부품 부문 성과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이 같은 격차가 정부의 소재 부품 분야 연구개발 홀대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 ...
박선숙 "창원시 재료연 부지 무상제공 밝혔는데 과기부 때문에 무산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비용조차 가늠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내놨다. 박 의원은 “일본과 기술 격차를 보면
나노
소재 분야는 한참 벌어진 상황”이라며 “과기정통부에 소재부품 관련 R&D 예산을 질의했으나 4차례 답변할 때마다 예산 수치가 달랐다. 부처가 투자 현황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최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