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데이터는 우리나라에 계절별로 어떤 새가 어떤 환경에 사는지와 같은 연구를 하는 데 활용될 거예요.김윤전 연구원은 “처음에는 어렵겠지만 새의 특징을 각각 나눠서 구분하다보면 금세 여러 새를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꽃들의 큐피드를 관찰하고 기록하라!같은 날 오후, 창경궁에선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0배가량 넓은, 우주의 약 85%를 스캔할 수 있어 허블이나 스피처 등 우주망원경과 함께 활용해 30~300광년으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외계행성을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테스는 올해 8월 처음으로 관측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했고, 9월에는 외계행성 2개를 발견했다. 이외에도 NASA는 2021년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반사시키고 결과적으로 파란색을 띤다. 이는 이미 반사형 디스플레이와 화장품 등에 활용되고 있다. 반면 깃털의 구조색은 2010년 이후에서야 생체모방 연구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일본 나고야대 연구팀은 북미에 서식하는 ‘스텔러어치’라는 새의 깃털을 분석해 직접 멜라닌 입자를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카메라 개발은 국내 반도체기업인 ‘인지’가 담당했는데, 초광각 렌즈인 어안렌즈를 활용해 시야각을 140도까지 확보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기존 카메라(70도)에 비해 두 배가량 시야를 확대한 것이다. 이로써 훨씬 더 넓은 범위의 환부를 확인하면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카메라, 조명,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구할 수 없어 수학계 대표 난제로 꼽힌다. 과학계와 산업계에서는 해의 근삿값을 구해 활용하고 있다. 도함수★ : 어떤 함수를 미분해 얻은 함수. 수학자였던 도진의 아버지도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연구했으나 풀지 못했다. 도진은 문제에 끌리면서도 계속 망설이고 주저한다. ‘어떤 별은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1학기의 경우 테셀레이션에 대해 배운 뒤 학생들이 모둠을 구성해 테셀레이션 개념을 활용한 공작물 등을 만들었다. 윤원정 교사는 “프로젝트를 통해서 학생들이 소통과 협업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장은 “내년부터 시작되는 3학년 교육과정에서는 산출물을 만드는 것은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답안지 표기도 연습하기 위해 학교에서 모의고사를 본 뒤 남은 OMR 카드를 공수해 연습에 활용했다. 전 씨는 이공계 학생들이 대체로 어려워하는 국어와 영어 과목의 문제를 빨리 풀 수 있는 비법을 하나 공개했다. 이들 과목의 경우 주어진 시간에 비해 문제의 양이 많기 때문에 지문과 문제를 빨리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차원의 노력은 환경친화적인 생활 방식을 실천하는 것이다. 대중교통 이용, 절약하고 재활용하는 습관 기르기, 윤리적 소비하기, 로컬 푸드 구매하기, 빈곤국 주민 후원 및 봉사 활동에 참여하기 등이 있다.지속가능한 발전은 경제적 영역을 넘어 환경, 사회 영역까지 포함한다. 보전해야 할 영역도 ... ...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게 했다. 향후 이 소재는 구부릴 수 있는 전자종이, 군사용 위장막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다. 박 교수는 “현재보다 낮은 전압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10.1002/adom.20180079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500여 개 이상의 기업이 활용해 신제품 개발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했다. 타키온 II를 활용한 연구가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논문으로 게재된 건 1000편이 넘는다. ‘누리온’이라는 이름은 대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최 원장은 “누리온은 ‘우리가 다 함께 누리는 슈퍼컴퓨터’라는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