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장애인 육상선수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두 다리가 없지만 활 모양의 보철장비를 낀
채
육상경기 트랙을 힘차게 달린다. 그는 장애인이 남아공 대회에서 일반선수와 겨룬 400m 경기에서 2위를 차지할 정도로 달리기 실력이 뛰어나다.그런데 그는 최근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으로부터 그가 사용하는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컸다. 낙동강 조사에서는 갯벌에 몸이 빠지는 바람에 신발 두 짝을 진흙아래 고이 묻은
채
몸만 빠져나왔고 추위, 더위와 싸우는 일은 이제 예삿일이 됐다. 새를 보는 순간 추위도 배고픔도 모두 잊게 된다는 이들은진정 새 박사였다 ... ...
개미의 그림자놀이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햇빛도 땅을 스크린삼아 물체의 그림자를 남긴다. 그런데 지구는 축이 기울어진
채
자전하므로 하루 중 태양의 고도가 계속 변하고 그에 따라 그림자 모양도 달라진다. 하루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은 해 뜬 직후와 해 지기 직전 그림자의 길이가 가장 길다. 사진에서 개미는 빛과 스크린의 방향을 ... ...
최초의 '그린' 해저탐사선 상용화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전했다.지난해 12월에 운항을 시작한 이 수중글라이더는 아직 한 번도 멈추지 않은
채
푸에르토 리코 동쪽에 있는 세인트 토마스 섬과 세인트 크로이 섬을 20회 이상 왕복해 왔다. 연구팀에 따르면 앞으로 6개월 동안은 지금처럼 움직일 수 있다.수중글라이더는 깊이에 따른 바닷물의 온도 차이를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남아있다. 프랑스에서 요양하던 시절 출산을 앞둔 잔과 모딜리아니는 두 손을 꼭 잡은
채
미소를 짓고 있다. 격자로 짜인 촘촘한 의자와 꼭 잡은 두 손은 그들의 영혼이 굳게 결합돼있음을 암시한다.미술치료에도 환자와 치료자가 함께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 있다. 서로 만나 호흡을 맞추고 그림을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변하는 성질이다. 적혈구는 핵이 없어서 유연하고 그 덕분에 좁은 모세혈관을 휘어진
채
로 통과할 수 있다. 연세대 의대 송재우 교수는 “건강한 적혈구는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바람이 빠져 유연해진 타이어처럼 모양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건강하지 못한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원했다. 모든 것을 원인과 결과로 설명하려는 진화론과 지독한 과학의 잣대를 배제한
채
말이다.곤충이 생동하는 봄을 맞아 파브르 곤충기를 제대로 읽어보는 건 어떨까. 잠시 멀어졌던 자연과 가까워지고 과거의 추억까지 떠올릴 수 있을지 모른다.앙 장리 파브르1823년 프랑스 남부에서 가난한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모르고 계속 제리를 찾는다. 결국 톰은 제리를 찾지 못하고 그렇게 또 제리에게 속은
채
하루를 보낸다. 여기서 드는 궁금증 하나! 쥐는 제리처럼 정말 영리할까?실제로 쥐는 호기심이 뛰어나고 훈련을 잘 소화해 내는 영리한 동물이다. 그래서 미로를 이용해 지능과 학습 능력을 실험하는 데 많이 ... ...
얼음호수에서 생명체 찾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추정되며 현재 두께 4km의 얼음으로 덮여 있다.과학자들은 수십만 년 동안 고립된
채
호수에서 살아온 생명체를 찾기 위해 호수 근처까지 빙하를 시추했지만 적당한 샘플을 찾는 데 실패했다. 하지만 생명체가 있을 만한 위치를 알고 빙하를 시추하면 성공 확률은 더 높아진다.캐나다 토론토대 매슈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때 다른 극성을 띠는 점을 이용하기도 한다.두 번째는 인쇄회로기판을 유기용매에 담근
채
100℃로 가열해 기판의 층들이 벌어지게 하는 방법이다. 이때 구리선이나 금속이 떨어져 나오는데, 지난해 말 지질연이 특허를 출원한 신기술이다. 두 방법을 이용해 인쇄회로기판에 붙어있는 금속을 싹싹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