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처녀의 젖가슴이 큰 유일한 동물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수컷은 암컷의 발정상태를 한눈에 분별할 수 있었다.그들이 침팬지나 고릴라처럼 손등을
지면
에 대고 네발보행(knuckle walking)을 하던 시절, 수컷의 얼굴 앞에는 암컷의 엉덩이가 바로 드러났고 그 밑으로 외음부가 보였다. 발정해 빨갛게 충혈된 암컷의 외음부는 크게 확장되며, 자신이 발정상태임을 ... ...
생활속의 '야누스' 정전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랩이 물건에 달라 붙는 이유는 랩을 쫙 잡아당겼을 때 막이 감겨 있던 부분과 떨어
지면
서(마찰의 효과) 정전기를 띠기 때문이다.사무실과 학교에서 많이 사용하는 복사기도 정전기의 특성을 이용해 토너를 OHP 필름에 부착시킨다. 오늘날의 정전기식 복사기는 1938년 미국의 물리학자 체스터 칼슨에 ... ...
5. 스포츠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한, 극복할 수 없는 한계를 안을 수밖에 없다. 빨라지고 싶으면 무거워지고 무거워
지면
멀리 갈 수 없는, 육체미 선수이면서 마라톤 선수가 될 수 없는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이해하자. 올해도 하와이 해변에서는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강철인간(iron man)을 뽑는 경기가 펼쳐진다. 이름하여 철인 ... ...
1. 동물사회의 지도자 그 카리스마의 비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종족의 미래가 그 한 몸에 달려있는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다.먹이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지면
촌장 코끼리는 이곳 저곳을 다니며 큰 나무를 쓰러뜨려 키 작은 코끼리들이 먹이를 얻을 수 있게 돕는다. 여러 어미들과 힘을 합쳐 마른 샘을 파서 깊은 곳에 남아 있는 물을 얻어내기도 한다. 그래도 물과 ... ...
바늘구멍 황소바람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상공에서보다
지면
부근에서 소리가 더 잘 들리게 된다. 쥐는 지표면에서 생활하므로
지면
쪽으로 굴절된 밤말을 잘 들을 수 있는 것이다.속담은 일상생활에서 얻은 지혜의 창고이기도 하지만, 여기에는 자연에 대한 이해가 함께 담겨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흔히 과학은 자연을 지배하는 지식으로 ... ...
2. 대권을 향한 손짓 그리고 얼굴표정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TV 토론에서는 하체를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선거일이 가까워
지면
서 후보들의 제스처도 점차 화려해지고 있다. 후보들은 단순히 손짓과 표정을 관리하는 일외에도 넥타이 색깔이나 머리 모양과 같은 패션에도 신경쓰고 있다. 겉멋에 혹하지 않고 대통령으로서 진정한 자격이 ... ...
세계 최초 초음속 자동차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엔진 성능이 더 잘 발휘되고 소리의 속도는 오히려 느려지므로, 조건만 잘 갖추어
지면
이보다 더 높은 속도를 내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공중에서 비행기로 음속을 돌파한 것은 1947년의 조종사 척이거에 의해서였다. 이날 음속돌파는 공중 음속돌파 50주년을 기념해서 기획된 것이었다.세계 ... ...
노벨생리·의학상/프루시너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형태와 정상적인 형태가 있다. 만일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질병 프리온’이 만들어
지면
뇌질환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 ‘질병 프리온’이 ‘정상 프리온’과 접촉하면 보다 안정된 형태로 전환된다. 또 연쇄적으로 정상 프리온의 구조를 변화시켜 자신의 영역을 넓혀나간다. 이 ‘질병 ... ...
엘니뇨가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즉 타히티섬의 기압이 올라가면 다윈의 기압은 낮아지고, 반대로 타히티의 기압이 낮아
지면
다윈의 기압이 올라가는 시소 현상을 보인 것이다.기상학자들은 이 현상을 남방진동(southern oscillation)이라 불렀는데, 1970년대 이후 엘니뇨와 남방진동이 함께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점을 알게 됐다. 그래서 ... ...
돌고래 수영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탄력적이고 부드러워 아주 작은 압력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물에 소용돌이가 만들어
지면
바깥쪽 피부는 우묵해지거나 주름이 만들어져 소용돌이를 줄여준다.돌고래가 빠른 또 하나의 이유는 돌고래의 피부 표면에는 당단백이라는 물질이 있기 때문이다. 당단백은 생물체 조직에 사용되는 다당과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