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또 체세포를 제공한 환자가 남성이건 여성이건 간에 줄기세포가 모두 제공자와 동일한
유전자
를 갖고 있는 것도 확인했다.그러나 황 교수팀은 ‘맞춤형’ 줄기세포를 실제로 임상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아직도 많다”고 강조했다. 환자 체세포를 이용해 얻은 줄기세포가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특이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기억강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유전자
중 하나인 BDNF가 기억재강화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히고 있다. 처음 학습이 강화되는 경로와 회상 후 나타나는 기억재강화가 서로 다른 독립적인 경로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기억재강화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멜라노사이트로 분화하는 줄기세포의 생존을 돕는다는 것. 연구팀이 쥐에서 Bc12와 Mitf
유전자
를 제거했더니 흰 털이 났다. 또한 사람 모낭에서 멜라노사이트 줄기세포의 양을 조사한 결과 40~60대는 20`~30대의 50%, 70대 이상은 10%에 불과했다고.최근 로레알 연구소는 멜라노사이트 내부에 있는 ... ...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박사학위를 받고, 지난 1985년 귀국한 뒤, KIST 유전공학센터(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유전자
재조합 기법을 도입해 신약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특히 아넥신(Annexin)이 염증을 치료하는 단백질인 것을 밝히고, 그 구조와 작용을 규명한 논문은 세계적인 연구성과로 평가받고 있다.최근 새로운 염증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 도네가와 박사는 최근 시냅스 수가 줄어든
유전자
조작 생쥐에서 기억력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했다. 또한 시냅스 수 유지에 중요한 단백질이 결손된 사람의 경우 언어장애나 정신지체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여러 건 보고됐다. 결국 시냅스 가소성을 ... ...
인간 X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퇴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로스 박사는 “혈우병, 색맹처럼 X염색체의
유전자
돌연변이로 생기는 유전질환이 여성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고 남성에게 빈발하는 이유는 남성의 경우 X염색체가 하나뿐이어서 결함이 생기면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염색체가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
세균 사탕발림에 놀아난 면역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내장세포에서 푸코스를 훔쳐와 치장을 한 것이다.그러나 푸코스를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
유전자
마저 없애자 이들은 대장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다. 연구자들은“세균이 숙주와 공생하는데 당분자를 이용한 위장이 중요하다”며“당분자가 정확히 어떻게 면역계를 눈감게 하는지는 여전히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어떤 영양소가 부족하면 무슨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내는 연구가 많았다면 이제는
유전자
타입별로 적합한 영양소와 그 필요량을 찾는 연구가 중심이 되고 있다.영양유전체학은 두 가지 연구 분야로 나뉜다. 개인별 유전적 구조의 차이가 식품 섭취 후 대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는 ... ...
고온 통증 느끼는 피부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또 대부분의 고온통증 단백질과는 달리 피부의 각질세포에서 발현된다. 이 단백질의
유전자
가 제거된 생쥐는 정상 생쥐에 비해 열로 인한 통증을 제대로 느끼지 못했다.연구진은 또 식물에 존재하는 ‘캠퍼’라는 물질이 TRPV3의 기능을 활성화한다는 점도 발견했다. 캠퍼가 온도감각에 영향을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이 굶주려 살아왔기에 가능한 에너지를 적게 쓰고 많이 저장하는
유전자
를 가진 사람이 생존에 더 유리했다는 것이다. 자동차로 치면 연비가 좋은 제품이 살아남은 셈.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체질량지수 25 이상을 비만으로 보고 있다. 또 서양에서는 허리둘레가 남자 102cm,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