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어른 쥐를 넣었다. 쥐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때 채널로돕신으로 표시한 부위에 푸른빛을 쪼이자, 평온했던 쥐가 전기 자극을 가하지 않았는데도 공포 반응을 보였다(위 그림 3). 뉴런을 직접 자극함으로써 유아기 때 형성됐던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즉, 유아기 기억이 여전히 뇌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췌장을 비교해 보면 세포의 크기는 그대로이고 대신 세포 수만 늘어있으니까요(오른쪽 위 사진). 그렇다면 왜 쥐는 인간과 다르게 췌장 세포의 크기를 키워서 췌장을 성장시키는 전략을 취했을까요. 도르 교수팀은 쥐의 경우 췌장 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동시에 세포 안에 있는 핵도 커진다는 점에 ... ...
- Part 4.독자가 찾은 9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속 9개 점을 지나는 ‘구점원’이네요! 구점원의 중심은 수심, 외심, 무게중심과 한 직선 위에 있으며, 이 직선을 ‘오일러 직선’이라 불러요. 그래서 구점원을 ‘오일러의 구점원’이라고도 하죠. 2, 황희찬 선수의 등번호는 9! - 행복하다 독자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한일전 쐐기골의 주인공인 ... ...
- [별난 이름정리]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을 찌그러뜨려도 가마는 늘 2개입니다. 이 문제는 지구 위 모든 곳에서 동시에 바람이 불게 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털난 공의 정리를 대입해보면 지구는 구의 형태이고, 벡터의 지수가 2일 테니, 두 곳에 벡터 합이 0이 되는 곳이 생겨 바람이 불지 않는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말이 많았던 기존 FIFA 랭킹 체계보다 새로운 FIFA 랭킹이 우리나라 국가대표팀의 순위에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얼마 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통해 한국 축구에 좋은 기대감이 다시 생겨난 만큼 새로운 평점 시스템과 함께 다시 한번 한국 축구의 희망찬 발전을 기대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 황윤섭 경희대 입학처장 - “잠재력과 가능성이 최우선 기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제출할 수 있다. 황 입학처장은 “고교연계전형은 학교생활을 모범적으로 수행한 학생을 위한 전형”이라며 “자연계의 경우 고교별 최대 3명까지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SW인재전형, 8학기 등록금 전액 지원경희대는 논술우수자전형도 시행하고 있다. 논술우수자전형은 학교생활기록부(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0] 학업역량, 어떻게 기르고 표현할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지난 5월호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을 다루면서 학생부종합전형이 교과 성적 등급만으로는 볼 수 없는 부분까지 면밀하게 검토해 학생의 우수성을 평가 ... 자신의 학업역량을 성장시키고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우수한 학업역량을 위해서는 성실한 학교생활이 최우선이 돼야 한다. ... ...
- [과학뉴스] 고대 인류가 거대 땅늘보를 사냥한 증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땅늘보는 나무늘보의 친척이지만 다른 점이 많아요. 우선 그 이름처럼 나무가 아닌 땅 위에서 살았지요. 또 동작도 민첩하고 크기도 곰이나 코끼리 만큼 거대했어요. 심지어는 육식을 한 흔적도 발견되었지요. 베넷 교수는 미국 뉴멕시코의 화이트샌즈 국립기념지에서 1만 1000년 전에 만들어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금성이 반달 모양인 이유를 이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오늘 저녁, 서쪽 하늘을 한번 올려다 보세요. 다른 별들에 비해 유달리 밝고, 노란 빛을 띠는 천체 하나를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 이 천체 ... 모습이 담긴 필름 디스크를 프로젝터에 끼우고 천장을 향해 비추면 내 침대 위에 각종 행성과 위성, 성운, 국제우주정거장까지 띄워볼 수 있답니다 ... ...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명의 저자가 모두 사망할 때까지도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글의 원저자를 알아내기 위한 시도가 150년 이상 이어졌지만 여전히 오리무중이었다. 그러던 중 1964년 월러스와 모스텔러는 스타일측정법을 이용해 원저자 찾기에 도전했다. 그들은 저자가 확실히 판명된 글들을 이용해 해밀턴, 매디슨,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