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요인
까닭
근거
동기
이유
기원
d라이브러리
"
원인
"(으)로 총 4,38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심리학]장인과 사위,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요소의 수치가 매우 비슷했다.영국 애버딘대 진화심리학자 리사 드브루인은 “다양한
원인
(原人)이 함께 살았던 과거, 인류의 조상은 다른 종과 잘못 짝짓기를 하지 않기 위해 부모를 닮은 배우자를 찾았을 가능성이 높다”며 “그 뒤 이런 경향은 근친결혼을 금하는 관습과 균형을 이뤄 부모가 가진 ... ...
“바꿔, 바꿔~!” 하루의 길이를 바꾸는 금속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도쿄공업대학교 지구행성과학과 케이 히로세 박사팀은 하루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원인
으로 후기페롭스카이트라는 광물을 꼽았어요. 이 광물은 지구 속 맨틀 하부에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 층이 외핵이 만들어 내는 자기장과 함께 엄청난 전자기 현상을 일으킨대요. 그 결과 지구의 자전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4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잡아 낸다 - 극한대기현상 관측대기권 높은 곳에서 발생하는 초대형 번개는 아직
원인
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지상에서는 관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소연 누나는 4월 11부터 17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의 박일홍 교수팀이 개발한 특수 망원경을 이용해 초대형 번개를 관측했다. 이 망원경은 ... ...
‘양날의 검’ 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감기에 항생제를 처방하면 효과가 있을까?감기는 항생제를 먹어도 낫지 않는다. 감기의
원인
은 박테리아가 아니라 바이러스이기 때문이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는 전혀 다른 생명체다. 현재까지 발견된 감기 바이러스는 약 100종.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성인들이 잘 걸리며 ... ...
[수학]확률을 이용한 미래 예측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따라 특정 브랜드를 선호하고 이를 반복해 구매하는 소비자 선호의 심리적 이유나
원인
이다. 어떤 브랜드가 계속적으로 구매자의 높은 지지를 얻으면 이를 판매하는 기업은 독점적인 시장을 구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기업은 브랜드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데 큰 관심을 갖는다.고객의 충성도와 ... ...
실험장치 내부온도 100℃로 맞춰라!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오븐의 온도가 낮으면 결정을 제대로 성장시킬 수 없다.실험 장치 내부 온도가 낮은
원인
은 실험장치의 외부온도가 40℃가 넘으면 자동으로 꺼지게 설계돼 있기 때문이었다. ISS는 화재 위험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실내 온도를 많이 높이는 실험장치는 반입이 금지될 정도다. 결국 오븐은 실내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눈으로 쉽게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KAIST 대사및생물분자공학연구실은 감염질환의
원인
균 44종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DNA 칩을 생명공학 벤처인 메디제네스와 연세대 의대 감염내과팀과 함께 개발했다. DNA 칩은 감염질환 진단용 칩 안에 박테리아의 특정 DNA 염기서열과 결합할 수 있는 DNA ... ...
[유전학]쌍둥이는 몸에서 나는 냄새도 똑같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뒤 1시간씩 운동을 시켰다. 그리고 패드를 모아 박테리아를 증식시킨 뒤 여기서 체취의
원인
인 카르복실산 계열 물질을 분리해 종류와 양을 분석했다.그 결과 일란성 쌍둥이들은 땀에서 생긴 카르복실산 계열 물질의 종류와 양이 이들과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들보다 10배 이상 비슷했다.영국 ... ...
꿀벌의 4번째 선물, 프로폴리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식품에 들어있을 경우 하루에 150~800mg을 먹는 것이 적당하다.한편 프로폴리스는 위궤양의
원인
균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도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대 수의학부 권명상 교수는 프로폴리스 농도가 800~6400ppm일 때 지름 3.2~7.2mm의 면적에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죽는다는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8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강무희 박사팀은 울릉도와 독도 사이에 있는 안용복해산의 생성
원인
을 밝혀 국제저널인 ‘마린 지오피지컬 리서치’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는 안용복해산뿐 아니라 이사부해산, 독도라는 이름이 나온다.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장경일 교수팀은 한국해양연구원, 부경대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