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되거나 병적인 자기중심성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는 사람이 될 것이다.거울신경
세포
는 생각보다는 감정에 많은 자극을 받는다. 어릴 때부터 긍정적인 감정에 노출돼야 감정이 풍부하고 이타주의적인 아이로 성장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젊은 엄마처럼 성급하게 아이를 키우면 부정적이고 ... ...
세포
에서 레이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레이저를 만들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연구팀은 “살아 있는
세포
의 내부 상태를 살피는 데 쓸 수 있을 것이며, 더 많은 연구가 이뤄지면 레이저가 필요한 진단과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포토닉스’ 온라인판에 6월 12일 게재됐다. 윤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관성, 중력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했다. 즉 혓바닥 끝이 우유에 닿으면 우유의 물분자가 혀
세포
표면에 착 달라붙어 혀가 올라갈 때 딸려 올라간다. 그러면 이 물분자와 인력으로 묶여 있는 다른 물분자도 함께 올라간다.혀가 위로 올라가는 속도에 따라 우유도 관성을 받아 위로 올라가며 기둥을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 밖에도 TCDD-Ah수용체 복합체는 임의대로 성장을 조절하거나, 인체의 내분비계와
세포
의 활동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질병을 일으킨다.임종한 인하대 산업의학과 교수는 “인체에서 다이옥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말했다.강한 독이 우려돼 인체 실험을 할 수 없기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일반적인 근전도 방식보다 한층 더 진보한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뇌 과학자들은 뇌
세포
내에서 바로 신호를 꺼내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두뇌-기계 연결장치(BMI)라고 부르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뇌 속에 전극을 꽂아 넣는 수술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근적외선을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밀도가 인간의 5배나 되기 때문에 선명한 천연색 영상을 볼 수 있다. 반면에 막대
세포
는 거의 갖고 있지 않아서 어두운 밤에는 거의 볼 수가 없다.반면 밤에도 뚜렷한 시각을 갖고 있는 동물이 있다. 세로로 길쭉한 눈이 매력적인 고양이들은 망막 뒤에 거울 같은 반사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망막이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효소는 사람이 살아있을 때
세포
속에서 해로운 균을 죽인다. 하지만 죽고 나면
세포
에서 떨어져 나와 온 몸의 근육을 공격한다. 이 과정에서 지독한 악취가 생기고, 이런 악취는 다시 주변의 벌레들을 불러 모은다. 시신이 썩지 않고 보관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미라는 전 세계 곳곳에서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기지 않아 결국
세포
노화로 이어진 것.물론 희망이 없는 건 아니다. p53이 고장난 암
세포
에 정상 수준의 p53을 만들수 있게 해주면 노화 부작용 없이 암 덩어리를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2007년 나왔다. 결국 우리 몸은 p53을 절묘하게 조절해 노화와 발암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 최대 수명을 누리는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표현되는 수학적 모형을 만들었다. 이는 호지킨-헉슬리 모형이라 불린다. 두 사람은 신경
세포
라는 생물학적 대상을 수학적 대상으로 바꾸는 계기를 제공했다.호지킨-헉슬리 모형은 수학을 뇌과학 연구에 적용한 대표적인 예다. 특히 이 모형은 40년간 다양한 실험 결과를 예측하고 모형화하는 데 ... ...
감기 예방약 개발, 청신호 켜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헤마글루티닌’이라는 표면 단백질을 써서
세포
의 표면에 붙은 융합한 다음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단백질을 새롭게 개발했다.이 단백질 성분을 주사나 먹는 약으로 만들면 바이러스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맞게 설계됐지만 조류독감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