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화학 구조를 가졌지만 하는 일은 가장 많고,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물체에 존재한다. 주기율표의 1번에 걸맞은 ‘작은 거인’인 셈이다. 바로가기 ☞https://tv.naver.com/periodictable 용어정리-플로지스톤(phlogiston). 18세기 초 연소를 설명하기 ... ...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도브시 교수가 쓴 웨이블릿 이론에 관한 논문은 약 1만 번이나 인용됐고, 도브시 교수의 모든 논문과 강연의 인용 횟수를 합치면 약 8만 6천 번에 이른다. 수학 연구 중 가장 많이 인용된 것이다.이런 활약 덕분인지 도브시 교수는 ‘최초’라는 수식어와 인연이 깊다. 1994년 여성 최초로 미국 ...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쌍곡면의 대표적인 형태인 말 안장 곡면은 모든 점에서 미분 가능한 표면을 지니고 있는 반면, 주름진 곡면은 미분이 불가능한 지점이 있으며 어느 점에서도 완전히 펼쳐지지 않은 표면을 지니고 있었던 거예요. 매끄럽게 쫙 펼쳐진 물체를 구부리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모두 해군, 공군, 해병대 출신 조종사들이었던 것처럼 중국도 지금까지 비행한 모든 우주인이 군 조종사 출신이다. 왕야핑도 비행 당시 중국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 소속 조종사였다. 과학 실험을 수행한 것은 나와 같지만, 바로 이 부분이 필자와 왕야핑의 가장 큰 차이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 ...
- [미국유학일기]3일 밤샘 공부 가능한 스탠퍼드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올해 2월 인기리에 종영한 드라마 ‘스카이 캐슬’에서 하버드대생을 사칭한 세리(박유나)가 했던 거짓말 중 하나가 바로 도서관에서 3일간 밤 ... 도서관들은 여전히 학생들의 지적 탐구의 열정이 한데 모인 상징적인 공간이다. 비록 모든 도서관에서 밤을 샐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 ...
- [영국유학일기] 한 번에 최대 40권 대여, 임페리얼칼리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30분 이상 자리를 비우면, 책상 위의 모든 물건들이 안내데스크로 옮겨진다.이렇게 모든 학생들이 치열하게 공부하는 임페리얼칼리지 도서관은 진정 학생을 학생답게 만들어주는 자랑스러운 공간이다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고 대표는 “연구실 밖에서 일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게 지론”이라며 “가급적 모든 시간을 연구에 투자한다”고 말했다. 라돈아이도 이런 철학에서 탄생했다. 고 대표는 “누군가 하지 않은 틈새를 찾아 남다른 무언가를 개발하려고 한다”며 “라돈아이도 휴대용 측정기가 없다는 점에 ... ...
- 과학은 실험이다_ 김정민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것은 절대적으로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론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이론만으로 모든 것을 이해하는 경우는 극소수에요. 실생활에서 문제를 인식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해결 의식이 있어야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그래서일까. 김 교사는 과학 수업이나 ... ...
- [서거 500년] 프로N잡러 레오나르도 다빈치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유일한 그림입니다.파치올리는 책 서문에서 “형언할 수 없을 만큼뛰어난 왼손잡이이자 모든 수학 분야에 정통한 인물”인 다빈치가 고맙게도 삽화를 그려줬다고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증거③ 사면체의 무게중심을 발견했다? 콤만디노의 정리. 꼭짓점 A, B, C, D와 각각 마주보는 면의 ... ...
- [알고리듬 시그널] 해밀턴 회로 문제를 푼다! 백트래킹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1950년대에 처음으로 사용한 뒤 컴퓨터 과학에 널리 쓰이게 됐어요.백트래킹 알고리듬은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보는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알고리듬에 비해 다소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해가 있는 문제라면 근사해가 아닌 확실한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강점도 있지요. 간단한 해밀턴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