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정확하다고 말한다. 심박수와 심박출량, 동정맥 산소차 등을 복합적으로 계산해 신체가 단위시간 동안에 얼마나 많은 산소를 받아들이는가가 정확한 고산능력의 잣대라는 것이다. 즉 산소는 많이 흡입했다고 하지만 피 속의 헤모글로빈이 부족하고 심장이 한번의 박동으로 쏟아내는 피의 양이 ...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과학동아 l1999년 09호
- 행성에서 태양까지의 거리가 AU(천문단위: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 약 1억5천만㎞)단위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규칙성을 천문학자인 보데가 정리해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이 만들어졌다(표 참조).이 법칙을 살펴보면 화성과 목성사이 2.8AU에 해당하는 행성이 빠진 것을 알 수 있다. ...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시안)성의 북문을 가리키는 북락사문(北落師門)으로 불렀다. 1993년에 이 별에서 4백천문단위(AU) 떨어진 거리에서 젊은 별을 둘러싼 차가운 먼지고리가 발견됐다. 이것은 우주의 많은 젊은 별들이 새로운 행성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가스나 먼지로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증거로 생각됐다 ... ...
- 억겁과 천재일우의 의미과학동아 l1999년 08호
- 히말라야의 눈을 만년설이라 하고, 멀고먼 미래를 ‘자손만대’라고 하듯이 우리는 만 단위에 의미를 부여해왔다. 서양에서 1천이라는 숫자가 무엇의 끝이거나 다시 시작하는 단절과 분절을 의미한다면 동양의 만(萬)은 거의 변하지 않는 영원을 상징한다. 새 천년을 기다리면서 불의 심판이니 ... ...
- 온실효과의 두 얼굴과학동아 l1999년 07호
- 그대로 자연이 협조하지 않으면 생산량을 늘릴 수 없고, 태양열발전이나 태양광발전은 대단위 전력생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전력 수급계획도 이런 상황을 고려해 만들어졌다. 1995년 원자력과 화석연료의 비율은 34.5% 대 63.1%였는데, 2010년에는 45.5% 대 53.1%가 될 전망이다 ...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중심에서 보이는 별이 약 2만년 전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 행성상 성운은 우주의 시간 단위로 볼 때 매우 짧은 생애를 산다. 고리 성운도 현재 초당 20km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데 수만년이 지나면 우주공간에 완전히 흩어져 눈에 보이지 않을 것이다. 고리의 크기가 약 3만AU나 되지만 2천 광년이나 ...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내에 많이 분포한다.(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로 약 1억5천만km. Astronomical Unit, 천문단위라고 부름)(h) 혜성들은 황도면 뿐만 아니라 여러 방향에 존재하는 3차원적 공간 분포를 하며 약 10만 AU까지 퍼져 있다. 이들 혜성들의 반 정도는 약 3천-2만AU 사이의 오르트구름 안쪽에 밀집해 있다.(i)행성과 ...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모든 학문이란 바로 이 데카르트의 철학에 기초를 하고 있다. “모든 것을 가장 작은 단위(unit)로 쪼개보면 알 수 있다”라는 사고의 배경에는 기계론적인 철학이 자리하고 있다. 세계는 하나의 잘 짜여진 기계이고 그 기계의 구조를 알면 인간이나 자연, 심지어는 인간의 마음까지도 모두 해명할 수 ... ...
- 체온을 조절하는 고등식물들과학동아 l1999년 05호
- 경우 1mL의 산소를 소비했을 때 20줄(J)의 열을 낸다. 따라서 산소 소비의 속도를 측정하면 단위 시간당 열량(W)을 알 수 있다.필로덴드론 셀로움의 산소 소비속도를 측정해 발열량을 계산한 결과 꽃가루를 옮겨주는 곤충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곳에서 가장 많은 열을 내고, 수꽃과 암꽃은 그다지 열을 ...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여성 옆에는 평균신장이 2진법 숫자 1000으로 표시돼 있다. 1000은 10진법으로 8이다. 길이의 단위가 21cm이므로 21cm x 8 = 1백 68cm임을 알린다.아래에는 파이어니어 10호의 행로를 표현했다. 왼쪽 끝의 원은 태양으로, 파이어니어가 지구를 출발해 목성과 토성 사이를 빠져나왔음을 표시했다. 행성 상하에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