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여름. 직장인에겐 휴가, 학생에겐 방학이 기다리고 있는 계절이다. 답답한 도심을 벗어나 자연과 함께해 보자. 자연의 깊숙한 결을 느끼게 해주는 좋은 과학책 한두 권 함께 하면 더 알찬 여름이 될 것이다.조홍섭 환경전문기자가 쓴 신간 ‘한반도 자연사 기행(한겨레출판)’은 이런 주제에 첫 번째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아흐~! 기대돼.’멀리뛰기는 100m 달리기 다음으로 쉽게 할 수 있는 육상 경기예요.
꼭
경기가 아니더라도 놀이 삼아 할 수 있는 종목이거든요. 하지만 멀리뛰기를 정식 경기에서 하려면 연습을 아주 많이 해야 해요. 구름판을 제대로 밟는 일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죠.물론 멀리뛰기에서 좋은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자신은 수학일기에서 대입법으로 풀고 어느 방법이 더 좋은지에 대한 생각을 정리한다.
꼭
수학 수업에서 경험한 것만을 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도 쓸 수 있다. 수학에 관련된 책을 읽고 책의 내용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다. 예로‘맨홀 뚜껑은 왜 원일까 ... ...
뒤돌아서서 후회하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순간에는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물론 오랜 시간을 두고 한 가지에 집중한다고 해서
꼭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른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 흔히 머리를 쥐어짠다고 한다.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거나 창의적인 생각을 위해 골똘히 생각에 집중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해서 떠오른 생각이나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촉진하는 물질로서 빈혈 치료제로 쓰이고 있어요. 특히 신장병 환자가 혈액을 투석할 때
꼭
필요한 약이에요. 놀라운 것은 이 약의 가격인데 1g에 67만 달러(약 8억 원)나 해요. 금보다 수천 배나 비싸답니다. 엠젠(Amgen)이라는 회사는 이 약 하나로 미국 최고의 생명공학회사가 됐대요. 유전자변형쥐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손상을 입는다.결국 복원과정에서도 배접은 필수다. 구멍이 난 경우는 구멍의 크기에
꼭
맞게 한지를 오려 붙이고, 작품의 일부분이 잘려나갔을 경우 크기나 모양을 짐작해 종이를 새롭게 만들어 붙여 주어야 한다. 이럴 때는 최대한 비슷한 재질로 만든 한지를 찾을 수 있느냐가 성패를 가른다.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흡착판처럼 끈끈하다. 이 갈고리를 이용해 먹이식물의 줄기를 갈고리로 건 것처럼
꼭
잡는다. 갈고리로 걸고 발판의 흡착판을 붙여 먹이식물에 붙어 있는 애벌레를 떼어 내는 일은 어렵다. 들러붙은 힘이 너무 강해서 배다리를 심각하게 손상을 입히지 않고서는 떼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내린 폭설을 예측하지 못했다. 이런 결과를 통해 집중호우 같은 작은 규모 기상현상은
꼭
해상도가 높은 수치예보모델로 예측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km 수평 규모의 집중호우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km 해상도의 수치예보모델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신·구 지역예보모델의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보면 오전 7시, 오후 7시 이후의 작업이 포함된 근무는 모두 교대근무에 해당한다”며 “
꼭
조를 짜고 시간을 바꿔야만 교대근무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일상적인 낮근무 외의 근무는 모두 건강에 무리가 간다는 뜻이다. 늦은 밤 야근이나 새벽까지 이어지는 학생들의 공부 모두 몸에는 무리다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먼 거리에서 지표면의 물질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달 탐사를 시작한다면
꼭
필요한 연구입니다.”새로운 물리현상 알아가는 재미가 있어자동차와 비행기, 미사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황, 바로 정상 연소를 기본으로 생각하고 비정상 연소를 예외적이라 생각해 관심이 많지 않다.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