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d라이브러리
"
기계
"(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장착한 그의 몸은 일반인보다 더 빠르고, 더 강했다. 비록 사고로 장애를 입었지만
기계
의 도움을 얻어 더 강하고 완벽한 인간의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 셈이다.대중의 상상력은 이처럼 과학기술 문명을 먼저 이끌기도 한다. ‘6백만 달러의 사나이’는 언제쯤 실현될 수 있을까. 국내 생체공학의 ... ...
[의학] 살아 있는 심장으로 만든 ‘수술 실험용 시스템’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경우가 많아 실험을 여러 번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다이내믹 심장 시스템을 개발한
기계
항공우주공학과 그레고리 버크너 교수는“이 시스템은 심장이 동방결절에 의해 스스로 박동하는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험하는 동안 돼지가 죽을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그렇다고 살아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자신이 인간이라고 생각하나?” “그렇다!” 뇌와 심장만 살아 있고 나머지가 전부
기계
라면 이를 인간으로 볼 수 있을까. 유 박사는 “현재 팔이나 손이 없는 사람은 인공 팔이나 손을 장착하고 근전도 감지기를 이용해 움직이고 원숭이 뇌파로 로봇팔을 움직이게도 한다”며 “미래 사회에는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못했다.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의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만들려는 노력이 있었다. 세종대
기계
항공우주공학부 안존 교수는 “그동안 개발하려던 스카이카는 항공역학적인 기본 지식을 간과한 것들이 많았다”며 “그 중에서 트랜지션이 가장 실용화와 가장 가까운 기종”이라고 평가했다.현재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공급하기 위한 터빈이 비행기의 가속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된다는 얘기다.서울대
기계
항공공학부 정인석 교수는 “압축기와 터빈을 엔진에 설치하려면 많은 부품이 필요하다”며 “극초음속 비행을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라고 말했다.터보제트 엔진의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나온 ... ...
[로봇공학] 인간처럼 넘어지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인간은 본능적으로 몸을 다치지 않도록 ‘잘 넘어지기’ 때문이다.칠레의 칠레대
기계
공학과 자비에르 루이스 델 솔라 교수팀은 축구를 하는 인간형 로봇이 인간처럼 부드럽게 넘어지는 기술을 연구했다. 로봇도 인간처럼 넘어질 때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한 것이다.연구 결과는 ... ...
차세대리더 모임 YEHS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특별한 매력을 느낀다”고 말했다.예스는 그 밖에도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기계
공학부터 식품공학까지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는 공학도들이 모인 만큼 두 달에 한 번 씩 각자의 전공지식을 교류하는 세미나를 연다. 또 매년 두 차례씩 전국의 고등학교를 방문해 이공계 전공에 대한 진로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역(逆)압전효과로 나눌 수 있다. 결정이나 세라믹 같은 압전체에 압력, 진동 같은
기계
적 에너지를 가했을 때 전기가 나오는 현상을 정압전효과(1차 압전효과)라 하며, 이와 반대로 압전체에 전기를 가하면 압력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역압전효과(2차 압전효과)라 한다.그렇다면 압전효과는 왜 ... ...
지성을 깨우는 목소리, 열정이 담긴 방송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촬영해온다”고 말했다.C 정성훈(05학번) 씨는 방송연구회에 흔치않은 공대출신이다.
기계
공학과 출신답게 그는 장비 정비부터 수리까지 담당한다.D 정재홍(08학번) 씨는 동아리에서 PD를 맡고 있다. 그는 지난 겨울 수습회원 딱지를 떼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E 아나운서를 맡고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부분만 크게 확대해서 찍을 수도 있겠죠.”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 멤스) 우주망원경 연구단을 이끄는 이화여대 물리학과 박일흥 교수의 설명이다. 그런데 이런 일이 실제로 가능할까. 박 교수는 ‘극소형 멤스 우주망원경’(MEMS Telescope for Extreme Light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