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재분석했죠. 그리브스 교수팀은 ALMA에 수신된 스펙트럼에서 배경 신호들을 제거하고
결과
를 도출하기 위해 12차 다항식을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스넬렌 교수팀은 재분석으로 이 12차 방정식이 배경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특정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연주 독일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협력한 가습기 살균제 사안에서 과학자들은 여러 가지 실험
결과
를 보고 가중치를 둬서
결과
를 추론하거나 인과관계를 판단했습니다. 반면 법원에서는 개별 증거별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예를 들어 증거가 10가지라면 과학계에서는 10가지 증거를 종합해 판단을 내린 반면, 법원에서는 일대일로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 종을 70% 이상 구하고 465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는
결과
를 발표했어요.다행히 올해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전 세계가 상처받은 지구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요. 2019년 3월 1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UN 총회에서 ‘UN 10년 생태계 복원 계획’이 발표됐거든요.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육면체 모양 웜뱃 똥의 비밀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다양한 소재로 육면체 형태의 물체를 만들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소프트 매터’ 1월 21일자에 실렸습니다.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인식 AI를 이용해 이미지의 경계나 특정 패턴을 찾아낸 뒤 새로운 화풍으로 바꿔줘. 그
결과
물이 마치 꿈을 꾸는 듯 추상적이라 a딥드림이라는 이름이 붙었지. 딥드림은 이미지의 경계나 특정 패턴을 더 잘 찾기 위해 수백만 개의 이미지를 딥러닝으로 학습했어. 딥드림이 그린 29점의 작품은 2016년 2월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이후 컴퓨터 계산을 통해 527번째 자릿수까지만 정확한 것으로 판명됐습니다. 샹크스의
결과
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계산한 원주율의 최장 기록으로, 여전히 깨지지 않고 있습니다 ... ...
코로나19로 바뀐 세상, 코로나19가 바꿀 세상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수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적었던 반면, 10대의 코로나19 전파율은 대단히 높았다. 이 연구
결과
는 2020년 7월 국제학술지 ‘신종감염병(EID)’에 발표됐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0년 전 스페인 독감으로 예측하는 코로나19 그 이후 코로나19로 우리의 생활은 앞으로 어떻게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을 영화처럼 만드는 무채색의 마법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월호에서 생동감 넘치는 보색 대비로 제작된 게임을 알아봤어요. 이번에는 ‘흰색, 회색, 검은색’의 무채색을 이용해 흑백영화 느낌이 물씬 나는 ... 바꿔도 좋고 새롭게 게임을 디자인해도 좋습니다. 독창적이면서 완성도가 높은
결과
물을 폴리매스에 보내주신 분들께 선물을 드립니다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입자는 외부로 방출되면서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D’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D.103.023014이번 연구에 참여한 루카 코미쏘 미국 컬럼비아대 천문학과 연구원은 “수천~수만 년 뒤 인류는 태양 대신 블랙홀 주변에서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당연지사일 것입니다. 행성에도 생명체가 거주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가 있습니다. 연구
결과
를 보면, 지구보다 1.5~1.6배 무거운 행성이 적합합니다. 행성의 질량이 커지면 중심부에서 방사성 붕괴로 만들어지는 행성 내부의 열이 더 오래 유지됩니다. 방사성 붕괴에 쓰이는 원소도 더 많기 때문이죠.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