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스페셜
"
가능성
"(으)로 총 3,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귀여워지고 싶은 마음
2020.10.11
노력하는 사진이 가득하다. 사회는 점점 고도로 복잡해지고 있고, 야생의 삶을 살
가능성
은 극단적으로 줄어들었다. ‘나는 자연인이다’의 주인공들은 정말 남다른 삶을 사는 것 같지만, 불과 수백 년 전만 해도 많은 사람이 그렇게 살았다. 그런데 이제는 아니다. 자연의 세계에서 자급자족할 ... ...
지구 충돌위협 소행성 '베누' 대기권 진입할 땐 잘게 깨질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베누의 바위 중간중간에는 나 있는 흰 줄에 주목했다. 이를 분석한 결과 탄산염일
가능성
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베누에 생명체에 필요한 탄소와 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베누 표면에서 발견된 바위에 흰 줄이 나 있다. 과학자들은 이 물체를 탄산염으로 추정했다. NASA 제공 ... ...
하얀입자 발견된 독감백신 61만 5000개 회수…식약처 "안전성 문제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발생
가능성
이 더 올라갈 수는 있다”면서도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발생
가능성
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효능과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는 다소 이견이 있는 부분도 있었다”며 “만약 항원량의 차이가 없다면 효능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 ...
코로나19 항체 혈액에서 4개월 이상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나타났다. 찰스 교수는 “환자가 IgA와 IgM 반응이 있으면 2개월 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
이 크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니퍼 거머만 캐나다 토론토대 면역학부 교수와 앤 클로드 징그러스 분자유전학부 교수 공동연구팀도 코로나19 환자 402명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IgG 항체가 최소 11 ... ...
전 세계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 34만명…역대 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지정했으나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영국도 확산 속도가 빨라지며 제2의 봉쇄조치
가능성
이 거론되고 있다. 8일 로이터통신과 BBC에 따르면 이날 영국의 코로나19 일일 신규 환자는 1만 7540명이다. 전산 오류로 누락된 이들이 반영돼 숫자가 갑자기 늘어난 이달 4일 4만 2961명을 제외하면 가장 큰 ... ...
렘데시비르, 코로나19 환자 회복 기간 5일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것을 보여준다”며 “이제 산소 호흡을 하는 환자에게 렘데시비르를 투여하면 사망
가능성
을 줄일 수 있다는 데이터가 있다”고 말했다. 렘데시비르는 길리어드사이언스가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개발한 항바이러스제다. 에볼라 치료제로 쓰이진 못했지만 코로나19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 ...
'둥근 물체에도 착 달라 붙는다'...휘는 고성능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연구팀은 전기 입자(전하)를 수송하는 원리도 밝혀 향후 태양전지의 성능을 추가로 높일
가능성
도 제시했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흡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다. 현재 실리콘을 이용한 제품이 상용화돼 널리 쓰이고 있고, 박막, 유기물 등을 소재로 한 태양전지 연구가 활발하다. 이 ... ...
[오늘의 뉴스픽]노벨상을 둘러싼 망조 같은 동상이몽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모습입니다. 반면 노벨화학상 발표에 앞서 국내에서는 현택환 서울대 교수의 수상
가능성
을 앞다퉈 보도하는 ‘이상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상 현상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한 해외 학술정보회사에서 현 교수가 앞으로 노벨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피인용지수를 가진 과학자로 올해 선정됐다고 낸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경쟁적으로 많은 연구비와 인력을 투입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아마도 향후 발전
가능성
까지 고려하여 노벨상이 결정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2016년 필자의 연구실을 방문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왼쪽 5번째)가 동료 교수 및 필자(왼쪽에서 6번째)와 사진을 찍었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보다 손쉽게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현상이 발견되면 잊혔다”며 “유전자 교정
가능성
도 처음 보였는데 이후 2세대 탈렌이 등장하면서 역시 밀려났고 3세대 크리스퍼까지 등장하면서 최근에는 대중과 대부분의 과학자들에게는 ‘유전자가위=크리스퍼’라는 공식이 생겼다”고 말했다.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