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뉴스
"
밤
"(으)로 총 2,187건 검색되었습니다.
밤
하늘 보며 천문학자 꿈 키운 소년 교과서에 실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박사는 “요즘 학생들에게 SF 거장 아이작 아시모프의 책을 권하고 싶다”며 “SF를 통해
밤
하늘과 우주의 위대함을 알고 자란 어린이와 그렇지 않은 어린이는 결코 같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 ...
적외선으로 찍은 아름다운 지구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4.02.27
나타난다. 그림 2.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그림 2는 인도네시아 시나붕 화산을
밤
에 찍은 것이다. 화산 분출물로 뜨거워진 부분이 밝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은 소형영상분광카메라로 찍은 것인데, 왼쪽은 바다의 깊이 분포를, 오른쪽은 육지 수로에서 물의 존재 여부와 ... ...
[청년드림]“누가 ‘왕관’ 씌워주지 않아… 꿈을 당차게 말하라”
동아일보
l
2014.02.25
(조직에서) 없어져 버리면 리더가 될 수 없다. 살다가 어렵고, 팍팍하고, 화가 나서
밤
에 자다가 벌떡벌떡 일어나고 싶은 마음이 들면 ‘내가 리더가 되려고 이러나 보다’ 생각하고 푹 주무시길 바란다(웃음). ―이행희: 여성의 약점으로 네트워킹 등 사회성을 많이 얘기하는데 사회와 조직에서 자기 ... ...
[지금 SNS에서는]웨어러블 기기 체험기
동아일보
l
2014.02.21
동아일보] “오후 2시 10분. ○○○님이 총 5.2km를 걸으셨습니다. 걸음 수는 5496보. 어젯
밤
수면시간은 6시간 21분이고 8번을 뒤척이셨네요. 목표 몸무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오늘 1031Cal만 더 섭취할 수 있습니다. 물은 940mL쯤 더 마셔야겠네요.” 마치 개인 트레이너가 옆에서 해주는 말 같은 이 문구는 ... ...
고혈압-당뇨환자 ‘막말 주의보’… 심장 멈추는 뇌관 될수도
동아일보
l
2014.02.21
일하는 직장인 A 씨(37·여)의 몸과 마음은 점점 지쳐갔다. 낮에는 두통과 현기증이,
밤
에는 불면증이 찾아왔다. 뭘 먹어도 소화가 안 됐다. 목과 어깨, 허리는 전보다 자주 결리고 쿡쿡 쑤셨다. 우울한 감정도 잦아졌다. 한 달 전 찾은 병원에서는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했다. 가벼운 ... ...
뇌파-안구-심전도 검사… ‘뒤척이는
밤
’ 비밀 캐다
동아일보
l
2014.02.17
자도록 충고 받았다. 주치의의 처방대로 생활한 지 3일이 흘렀다. 나는 다행히 하룻
밤
에도 몇 번씩 깨는 고통에서 점차 벗어나기 시작했다. 약물을 먹지 않고도 깊은 수면을 이룬 지 이틀이 흘렀다. 조 교수는 “양질의 수면은 좋은 수면 습관을 들이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수면장애가 의심되면 ... ...
사랑하면 더 많은 별이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3
겨울철에도 은하수를 볼 수 있지만 은하수는 여름철 은하수가 장관이다. 은하수는
밤
하늘에 펼쳐진 우리 은하의 모습이다. 갈릴레이처럼 망원경으로 은하수를 들여다보면, 빼곡히 몰려 있는 많은 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은하에는 대략 1000억 개의 별들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 ...
[채널A] 그치는가 했더니 또 눈…‘저지 고기압’ 심술
채널A
l
2014.02.13
틈도 없이 다시 눈발이 흩날립니다. 최고 70cm가 넘는 눈이 쌓인 강원영동지역에는 오늘
밤
부터 내일 새벽 사이 15cm 가량 눈이 더 내릴 전망입니다. 일주일 넘게 이어지는 폭설의 원인은 움직이지 않는 '저지' 고기압. 한반도 북쪽 대륙고기압의 찬바람과 남쪽 기압골의 습한 바람이 동해안에 많은 눈을 ... ...
“글로벌 협력 강화와 홍릉단지 발전을 통해 창조경제 기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강화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이병권 원장 직무 대행은 “지난 48년간 많은 연구자들이
밤
을 지새워 대한민국의 발전과 KIST의 오늘을 일궈냈다”며 “KIST도 2016년 개원 50주년을 코 앞에 두고 있는 만큼 시대적 도전을 위해 과거의 껍질을 벗어던지고 새롭게 노력해야 하는 한편, 과학기술인이 새로운 ... ...
연구 열정 앞에는 뱃멀미도 '저리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극지 바다를 인공위성 촬영만으로도 쉽게 조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 연구원은
밤
낮 없이 고생하고 있는 것이다. 뱃멀미가 심한 두 연구자는 귀 속 반고리관을 마비시킬 정도로 독한 멀미 패치제를 이틀에 한 번씩 바꿔가며 바닷물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신정일 박사는 “극 지방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