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우주비행사들은 아주 짧은 시간이지만 시간여행을 경험하고 있다. 세 번의 우주비행으로 총 748일간 궤도에 있었던 러시아 우주비행사 세르게이 아브데예프는 이미 5분의 1초 정도 미래로 여행했다. 우주정거장이 시속 2만 7200km 이상의 속도로 비행해 시간이 지연됐기 때문이다.빛의 속도의 99.995%로 ...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이과), 인문사회과정(문과)으로 나눠진다. 과학중점과정은 어떻게 운영되나?현재 1학년은 총 14반으로 과학중점과정이 2개 반이다. 나머지 12개 반은 1학년 때는 일반과정이고 2학년 때부터 이과와 문과로 나뉜다. 얼마 전 현재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 조사에서는 이과 4개 반, 문과 8개 반으로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숫자의 좌우 대칭 놀이 11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총 경우의 수를 직접 경로를 그려서 구하면 7(=1+3+3)가지다. 따라서 1에서 4까지 가는 총 방법의 수는 28(=7×4)가지가 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28}^{2}$, 즉 784가지다. X note1에서 9까지의 배수판정법2의 배수 : 일의 자리 수가 0이거나 2의 배수이면 그 수는 2의 배수다.3의 배수 : 각 자리 수의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불과했다.과학자들은 오페라 실험에서 이 결과를 검증하려고 했다. 2009년부터 3년간 총 1만 6000개 중성미자의 데이터를 얻었다. 이 실험은 빔 에너지가 높을수록 유리한데 미노스의 빔 에너지가 3GeV에 불과했던데 반해 오페라는 17GeV에 달했다. 이밖에 여러 실험 과정을 개선해 오차를 10ns까지 줄였다 ...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직접 손으로 닦는 방법을 택했다.이렇게 국새 제작에 온 정성과 노력을 쏟은 시간이 총 13개월. 도 책임연구원은 “국새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관련 기록이 없어 많은 곤란을 겪었다”며 “조만간 국새 제작의 전 과정을 책과 영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수학실험실] 사소한 도전, 과일 탑을 쌓아라!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있다. 즉 엇갈리게 캔을 배열하면 세로에 캔을 5개와 4개씩 반복해 넣을 수 있어 상자에 총 41개까지 넣을 수 있다. 이처럼 수학을 이용하면 공간을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연에서도 이런 예는 쉽게 찾을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바로 꿀벌의 집이다. 육각형 모양으로 만든 벌집은 공간을 ... ...
- [수학뉴스] 거액 복권에 4번 당첨됐다면 천운일까, 조작일까수학동아 l2011년 10호
- 08년 300만 달러(34억 원), 2010년 1000만 달러(114억 원)의 당첨금액을 챙겼다. 복권당첨금액만 총 232억 원이다.미국 텍사스대 샌디 노만 교수에 따르면 한 사람이 복권에 4번 당첨될 확률은 1/(18×1024)로, 1000조 년에 1번 일어나는 경우라고 한다. 이렇게 낮은 당첨확률 때문에 누리꾼 사이에서 그녀가 복권을 ... ...
- 펜보다 키보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것이다. 한글은 자음이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14개에 쌍자음 ㄲㄸㅃㅆㅉ 5개로총 19개, 모음은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ㅔㅒㅖㅚㅙㅘㅝㅞㅟㅢ로 21개다. 알파벳 26자로 된 영문 쿼티 자판에 맞추려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26개의 키에 배치할 수 있어야 한다.두벌식 자판은 자음 19개 중에서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중간의 네 명이 둘씩 두 쌍의 짝을 지어 역시 한 번씩 옮긴 것이 제 3행입니다. 그렇게 총 18번 진행된 것입니다. 뭔가 전체의 폭이 점점 넓어지면서 또한 점점 산만해지는 것 같지만, 그렇다고 안쪽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자주 없는 것도 아니고 여러 명이 한 지역에 몰리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삼각수이자 사면체수삼각형 모양으로 점이나 물건을 배열했을 때 사용된 점이나 물건의 총 개수를 삼각수라고 한다. 그림과 같이 세 번째인 6 다음의 삼각수는 무엇일까? 바로 10이다. 삼각수는 1, 3(=1+2), 6(=1+2+3), 10(=1+2+3+4)과 같이 1부터 연속된 자연수의 합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10은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