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출
표시
증정
기여
기증
공연
노출
d라이브러리
"
제시
"(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언젠가 ‘현재’였고 지금은 과거가 돼버린 문화유산. 선조가 남긴 문화재를 소중히 간직해야 하는 이유는 이들 문화재가 인류사의 연속성을 ... 어떻게 이어져 왔는가를 보여주고 다시 현재를 바탕으로 미래를 살아갈 수 있는 해답을
제시
한다는 것이 디지털 복원의 진정한 의의가 아닐까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어떤 내용으로 쓸까농아사이언스가 주최하는 '전국 학생 과학논술대회'는 특별히 문제를
제시
하지 않았다. 따라서 응모자가 관심사에 따라 주제를 정해서 자신만의 과학적 상상력과 논리젹인 생각을 글에 담으면 된다.그러나 감을 정확히 잡지 못해 고민하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몇가지 주제에 대한 ... ...
거미줄 인터넷에 온기를 불어넣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너무나 큰 네트워크 시대의 명암을 대변한다.●● 네트워크의 긍정적인 활용은 이미
제시
돼 있다. 잠깐 눈을 돌려보자. 영화 ‘콘택트’의 주인공으로 열연한 조디 포스터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외계의 신호를 검출한다. 우주의 전파 신호에서 외계의 신호를 찾아내는 연구의 시발점은 1960년에 ... ...
ET - 지구위기극복하는 만능해결사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OECD(경제협력 및 발전기구)에서는 교통신호등을 도입해 미래의 환경을 예측하고 방향을
제시
하고 있다. 신호등처럼 위험도에 따라 녹색, 황색, 적색의 신호등을 붙인 것이다.가장 안전한 녹색신호등의 경우 긍정적으로 예측되는 항목인데, 현재 선진국에서의 산림 남벌이 여기에 속한다. 지속적인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실렸다. 무슨 말일까.이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 이후 생명과학자들이 매진할 문제를
제시
하는 것이다. 바로 인간프로테옴이라는 것을.게놈은 한 생명체가 갖는 유전자 전체(유전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프로테옴은 단백질의 영문표현인‘protein’과 전체를 뜻하는 접미사‘-ome’를 합성해 만든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름은 이미 다른 행성에 사용됐기 때문에 도시에서부터 새의 이름까지 새로운 명명법이
제시
됐다. 국제천문연맹(IAU)의 수성지형명명위원회는 1년이 넘는 격론 끝에 인류의 문명발전에 기여한 예술가들의 이름으로 낙점했다. 어울리진 않지만 반 고흐, 베토벤 등의 이름이 뜨거운 수성의 세계에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톰슨이 연구소로부터 반경 1마일 이내로 들어오지 않는다는 용감한(?) 조건을
제시
하며 제4대 소장에 임명됐다. 그는 퇴임한 전직 소장의 간섭을 철저히 배제하면서(실제로 톰슨은 지하 실험실에서 자신의 연구 이외에는 전혀 연구소 일에 관여하지 않았다) 연구소를 독자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그의 ... ...
② 복제된 자손에게 핵 유전자만 전달된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은 “유전자와 형질이란 용어를 함께 사용해 문제를 까다롭게 비틀었지만 답은 평가원이
제시
한 것이 맞다”고 말했다. 평가원은 또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교과과정에서 다루지 않는다고 밝혔다.이번 과학탐구 문제에 대해 일선 교사들은 핵을 제공한 쥐의 유전자가 복제동물의 유전자와 같다는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신호에는 그리드 컴퓨팅과 관련한 컴퓨팅 기술의 새로운 개념이
제시
됐다. 미국 인디애나 노틀담대의 물리학과와 컴퓨터학과 출신의 과학자들이 그 주인공.이른바 ‘기생 컴퓨팅’(parasitic computing)이라 불리는 이 기술의 핵심은 특정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세계의 컴퓨터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역사의 격변기에 사라져버린 수많은 개들이 토종개의 대부분을 이뤘다고 할 수도 있다.일
제시
대에 조선총독부가 모피로 쓰기 위해 견피 수집을 국가정책으로 추진하면서 많은 우리 개들이 희생됐다. 해방 후 서양문물의 도입과 함께 유입된 외국개들과의 광범위한 교잡으로 그나마 남아있던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