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채식주의자가 된 육식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공룡의 골격을 조사한 결과 이 공룡이 육식과 채식을 함께 했다고 ‘네이처’ 5월 4
일자
에 밝혔다. 이 공룡은 두 발로 서서 걷고 키 1m 이상에 몸 길이는 4m 정도다.공룡의 이빨은 나뭇잎을 찢기에 적합한 모양이었다. 남아메리카에 살고 있는 잡식성 파충류인 이구아나도 비슷한 모양의 이빨을 갖고 ... ...
잠 안자도 끄떡없는 초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일으켜 30% 적게 자고도 정상적으로 생활하는 초파리가 태어났다”고 ‘네이처’ 4월 26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초파리 1만4000마리의 ‘짧은 수면’ 유전자에서 염기 서열 하나를 바꿨더니 이들이 3~4시간을 자고도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돌연변이 초파리는 생체반응 시간을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플래시 공학 같은 새로운 개발품들 때문에 이미 낡은 것이 돼 버렸다’ 1998년 2월 4
일자
‘뉴욕타임스’는 이렇게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옳았다. 이듬해 삼성전자는 128메가비트(Mb) 플래시메모리를 출시했고, 2004년 8기가비트(Gb) 플래시메모리까지 개발해 6년 동안 1년에 정확히 2배씩 용량을 늘렸다. ... ...
700만년전 인류 조상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차드에서 발견된 투마이 두개골 화석의 얼굴을 3차원으로 복원해 ‘네이처’ 4월 7
일자
표지에 실었다. 졸리코퍼 교수는 고해상의 X선 단층 촬영 기술을 이용해 투마이 화석에 뚫린 구멍들을 빈틈없이 메워 원래의 얼굴을 만들어냈다.또 이 화석을 처음 발견한 프랑스 포이티에대 마이클 브루네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nm=10억분의 1m) 크기의 빈 공간에 수소 분자를 가두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4월 7
일자
에 발표했다.수소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지만 저장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까지는 영하 252℃나 350기압 등 저온·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쓰였다.연구팀은 100기압 이하에서 ... ...
댐 공사로 망가지는 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세계 곳곳에 건설된 댐이 강 흐름을 바꾸고 토양을 깎고 있다”고 ‘사이언스’ 4월 15
일자
에 밝혔다.연구팀은 세계 292개의 큰 강이 운반하는 물의 양, 건설된 댐의 수 등을 조사한 결과 172개가 댐 때문에 손상된 것을 발견했다. 유럽에서는 큰 강의 60% 이상, 오세아니아에서는 17%의강이 훼손됐다 ... ...
초소형 물질 붙이는 강력한 나노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물질의 표면에 소형 구조물을 붙일 수 있는 나노 접착제를 개발해‘사이언스’4월8
일자
에 발표했다. 이 접착제는 고리형 탄소화합물로 온도를 250℃로 높이면 결합력이 강해진다. 연구팀은 다양한 물질의 표면 위에 이 접착제를 6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두께로 입힌 후 고분자 나노 구조를 수직으로 ... ...
태양보다 150배 이상 무거운 별은 없어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도널드 피거 박사팀은 태양 질량의 150배 정도가 정답이라고 ‘네이처’ 3월 10
일자
에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별의 최대질량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허블망원경을 이용해 우리 은하에 속해 있는 아치 성단의 별들의 질량을 관측해왔다. 아치 성단은 밀도가 높고 커서 아주 크고 ... ...
화성은 불의 행성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연구자들은 ‘네이처’ 3월 17
일자
에 기고한 세편의 논문을 통해 “평원이 아닌 화산에서도 얼음과 빙하의 흔적이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 ...
식물도 조각퍼즐을 좋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잎의 세포가 조각퍼즐처럼 서로 맞물려 자라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셀’ 3월 11
일자
에 발표했다.세포가 이처럼 배열된 것은 연약한 잎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다. 수백년 전에 돌을 서로 맞물려 지은 성벽이 여전히 건재하듯이 단순한 6면체 형태의 세포가 모인 것보다 조각퍼즐처럼 요철이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