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d라이브러리
"
원리
"(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를 살리는 젊은 에너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으로 구성된 ‘토네이도’팀이었다. 이들은 에너지 분야에서 토네이도형 풍력발전기의
원리
및 에너지 효율증대와 실용성 방안을 연구해 최고 점수를 받았다.“풍력발전기 속에 토네이도를 일으키다”심사 결과가 발표되기 전 인터뷰에서 이명훈 군은 거침없이 “자신있다”며 웃었다. 하지만 ... ...
[11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데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는 것도 이 같은 보정 때문이지만 여기에 상대성이론의
원리
가 들어있다고 지적한 점이 흥미롭다. 지금 기사만으로도 완성도가 있지만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궁금증까진 해결해 주지 못했다. 시간 지연과 시간 가속으로 생기는 오차를 어떤 과정을 거쳐 보정하는 것일까.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보면, 0을 중심으로 대칭을 시켜 -1과 +1을 더하면 0이 된다. 초대칭 역시 이와 유사한
원리
로 입자물리학 이론의 불가사의한 부분(양자요동)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만약 초대칭 입자가 특별한 조건과 함께 초대칭성을 잃는다면, 초대칭 입자 일부는 다른 초대칭입자로 붕괴하지 않고 우주에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영국 국방부는 2007년 광학 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주간용 투명 탱크를 개발했다.
원리
는 블랙폭스와 거의 비슷하다. 파노라마 카메라가 주변 풍경을 가시광선으로 촬영해 탱크 장갑의 디스플레이 막에 표시한다. 이 투명 탱크는 빠르면 올해 실전에 투입될 예정이다.게임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 ...
확장한글의 꿈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더구나 한글은 과학적이어서
원리
를 가르치면 한두 시간 안에 깨우친다. 나는 이러한
원리
를 담은 ‘흅스’라는 스마트폰 앱을 최근 개발했다.한글이 세계로 퍼지는 날정확히 2년 전, 그러니까 2010년 10월 9일 한글날이었다. 한국어정보학회가 세종대왕능(영능)이 있는 여주에서 학술회의를 ... ...
폐 검사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공명 주파수를 측정하면 목을 통해 공기가 얼마나 많이 흐르는지를 알 수 있다”고
원리
를 설명했다.스마트폰을 이용해 집에서 자주 검사를 할 수 있다면 예상치 못하게 닥칠 응급 상황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아우르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입학했다. 필자가 학부 3학년이었을 때 실제로 내가 현실 세계의 컴퓨터 동작
원리
를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인지, 내가 과연 어떤 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을 시작했다. 학부 수업이나 두꺼운 이론 서적들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현실적으로 제시해주지 못했다. 이 때 필자의 대학원 ... ...
목표 없이 멈추거나, 휩쓸리거나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있는 상대를 만나 현명하게 연애를 하라는 것이다. 또한 문제집만 풀기보다 이론이나
원리
가 실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책을 많이 읽어 보라는 조언을 했다. W학생은 고집이 강해서 다른 사람이 시키는 것을 무조건 하는 스타일이 아니었다. 부모님도 뭐라고 지시하지 못한다. ... ...
놀토 창의체험활동? 난 집에서 즐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주제마다 LG사이언스랜드가 가지고 있는 과학 기사와 실험 동영상, 애니메이션, 노래로
원리
를 이해하는 과학송까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어. 무엇보다 현직 과학 선생님들이 작성한 각 주제에 대한 설명과 탐구할만한 ‘활동문항’과 ‘참고자료’를 만날 수 있어 매력적이야 ... ...
개미의 먹이 찾기와 인터넷의 공통점은?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인터넷에서 정보 이동량을 조절하는
원리
와 같은 방법으로 먹이활동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스탠포드대 생물학과 데보라 고든 교수와 컴퓨터과학과 발라지 프래배카 교수는 개미의 특별한 먹이활동 방식을 발견하고 ‘안터넷(anternet)’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듯 교수는 먹이가 풍부하면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