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압박
강제력
조사
수사
고문
추적
압도
d라이브러리
"
압력
"(으)로 총 2,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변기기 활용법/레이저프린터 대중화 문턱에 들어선 무공해 출력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묻어 있는 토너가 종이에 옮겨진다. 토너는 미세한 분말이므로 떨어지기 쉬운데, 고온의
압력
롤러를 통과하면서 종이에 단단히 밀착된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레이저 프린터는 복사기와 기본적인 원리가 같다. 다만 입력되는 정보가 디지털 신호로 입력되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에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알리는 등의 큰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이라크군의 쿠웨이트 철수를 주장하는 국제적
압력
이 고조되자 후세인 대통령은 이라크군의 이동사진을 TV에 보여주면서 철수가 시작됐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서 부시 미대통령은 "후세인이 새빨간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단호히 반박했다. 부시 대통령이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인력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전투력이 크게 삭감되는 것. 또 신경제보다는 국제여론의
압력
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수 있으므로 페만에서 화학전이 터진다면 먼저 수포제가 살포될 가능성이 크다.이라크는 최근 미국이 개발한 2원화화학탄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 포탄속에 두가지의 ... ...
자동차를 순식간에 쇳덩어리로 녹여버리는 1백만W 전구는 어디에 쓰일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한쪽에는 이온화된 아르곤가스가 다른 한쪽에는 냉각수가 흐르고 있다. 냉각수는
압력
을 받아도 비등하지 않도록 석영관 내부를 냉각시키고, 관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관이 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아르곤은 관 중심부를 빠른 속도로 돌면서 흩어지지 않는 빛을 방사(放射)한다. 이론적으로는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기압은 1천m 깊이 바닷속의
압력
과 같아서 그 곳에서 사람이 서있다해도 호흡이 곤란한
압력
이다. 금성 표면 온도는 4백70℃ 정도. 이는 납도 녹일 수 있는 온도다. 금성 온도가 이렇게 높은 것은 태양 에너지중 자외선은 대기층을 뚫고 들어가 표면에 흡수되지만, 방출되는 열, 즉 적외선은 파장이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없는 경우는 만성변비에 걸린 사람이 용변중에 너무 힘을 쓸때 발생할 수 있다. 그
압력
이 직장을 몸밖까지 내몰은 것이다. 특히 직장을 지지해 주는 신체구조가 허술하고 배변의 보조근육이 약한 젊은 층에서 잘 발견된다. 결국 치료는 직장을 제자리에 옮겨놓고 외과적으로 고정시켜주는 방법 ... ...
PARTⅡ. 원리와 종류-루비레이저에서 자유전자 레이저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더욱이 반도체의 에너지 준위나 자유캐리어의 특성은 온도
압력
전류 자계 등에 의해 쉽게 변하기 때문에 원하는 특성의 출력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진파장은 주로 적외선 영역에 국한돼 있으나 최근에는 가시광선영역에서 동작하는 레이저도 개발됐으며 ... ...
곤충 날개의 구조와 특성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날개는 막과 튼튼한 줄기로 구성돼 있다. 막이 돛의 천이라 한다면 줄기는 돛대. 공기
압력
을 받으면 막의 위치를 변화시켜 곡예를 펼치는 것이다.날개의 특성과 비상기술의 관계는 이제 추측단계를 넘어서 실증적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
초소형 금속기어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조금 굵은 초소형 금속기어가 위스콘신대학 공학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이 기어들은
압력
의 변화나 운동을 감지하는 초소형 센서(sensor)에 이용될 것이다. 연구팀들은 곧 이 기어를 이용한 초소형기구들도 개발해 상품화할 예정인데 그 크기는 1백μ을 넘지 않는다.지금까지의 초소형 기구들은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눈금이 움직인다는 단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보다 정확한 온도계를 만들려면
압력
에 따라 거의 부피가 변하지 않는 액체를 쓰면 좋을 것 같다. 그러나 액체의 팽창은 기체 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정밀한 장치를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 1640년 경에 벌써 이탈리아의 피렌체에서는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