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전"(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신학자의 길을 걷고 있었던 오일러를 수학의 길로 인도해 미적분학과 기하학, 해석학의 발전은 물론 근대 정수론의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사실 요한 베르누이를 시작으로 오일러, 라그랑주, 푸리에, 클라인, 힐베르트 등으로 이어지는 사제지간은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서양수학사를 주도했다.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데카르트의 생각을 이어 극한 개념을 수학적으로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월리스는 천문학, 식물학, 음악 등 다방면에 재능을 보였는데, 그 중에서도 암호해독에 두각을 나타냈다.월리스가 ∞를 무한대 기호로 선택한 이유를 따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너지 핵융합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PART2. 핵융합의 원리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PART4. 핵융합 실현 기술PART5.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너지 핵융합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PART2. 핵융합의 원리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PART4. 핵융합 실현 기술PART5.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 [과학뉴스] 넌 다행히 피는 안 보고 혈장만 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방사능에 과다 노출되면 혈소판이 가장 먼저 감소합니다. 이 때문에 지진해일로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난 일본 후쿠시마 지역에서 ‘코피가 나기 시작했다’고 하면 방사능에 오염된 것이라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습니다.혈장은 이 모든 것을 품고 있는 액체입니다. 투명하면서도 약간 노란색을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병렬적인 계산을 합니다.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 개념을 이용해 계산 속도를 엄청나게 발전시킬 것입니다. 여러분이 컴퓨터공학부를 졸업해 현장에서 일할 때면 이런 컴퓨터와 함께 일하게 될지도 모르겠네요.Q 선배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A 공부에 뜻이 있다면 대학원에 진학합니다. 그렇지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세기 중엽 영국의 로버트 훅이 광학현미경을 개발한 이래 현미경은 생물학을 혁신적으로 발전시켰다. 세포를 알게 된 것도 현미경이 탄생하고부터다. 하지만 1994년 전까지 광학현미경은 200nm(1nm=10억 분의 1m)보다 작은 물체를 볼 수 없었다(아베 한계, PLUS 참조). 세포는 봤지만, 세포 소기관은 볼 수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시작했다. 핵쓰레기에서 독성이 강한 부분만 골라 태우는 ‘핵변환’ 기술이다.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를 가동시키고 난 뒤 발생하는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는 원전 가동국들의 가장 큰 골칫덩이다. 아직 핵분열이 완전히 종료되지 않아 ‘잔열’이라 불리는 고열이 발생하고, 높은 수준의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혼자서 정보를 처리하는 격자세포 모세르 부부는 오키프 교수의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장소세포의 정보처리를 돕는 ‘격자세포’를 발견한 것이다. 과학자들은 1990년대까지 위치 정보처리는 해마에서만 이뤄진다고 생각했다. 모세르 부부는 해마가 아닌 다른 곳에도 길 찾기에 관여하는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어차피 다 복구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라고 질문할 수 있다. 데이터 복구기술은 날로 발전해 하드디스크를 불에 태우거나 물에 빠뜨려도 복구가 가능하다. 그러니 영화처럼 하드디스크나 메모리를 물에 던지는 것은 순 ‘뻥’이다.사실 하드디스크는 이런 물리적 충격보다는 ‘덮어쓰기’에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