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86세계와 한국의 과학계 희망과 좌절이 엇갈린 한 해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연결하여 '통신의 고속도로'인 종합정보통신망을 구축하려는 거창한 사업의
막
이 오르게 되었다.올해 초에 국내기업이 개발한 반도체 소재인 리드 프레임 생산기술이 선진국 서독에 수출되어 과학기술계의 적지않은 관심을 모았고, 6월에는 VTR기술이 말레이지아로 수출되었다. 또 10월에는 첨단적인 ... ...
세계의 대사
막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매년1백㎢가 녹화되고 있으나 사
막
화는 매일 50㎢의 속도로 넓혀지고 있다.이렇게 하여 사
막
화로 잃어지는 농지는 매년 전세계에서 5만~7만㎢에 이른다. 그렇게 되면 2000년경 까지는 세계의 농목지의 3분의1을 잃게 될것이라 추정되고있다. 이 세계는 생물을 죽음으로 몰아가고 문명을 멸망케 ... ...
생체전자공학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왜 대류와 같은 계가 신경계에 필요한가?대류에서 온도차에 해당되는 것이 세포
막
안팎의 이온농도차다. 신경섬유가 놓인 환경을 평형에서 멀리하면 즉 이온농도차를 크게하면 스스로 펄스가 반복하여 발진한다. 이 발진은 극히 안정 되어있어 온도가 일정하면 주파수와 진폭이 모두 1시간정도 ... ...
베르너 폰 브라운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폴랜드를 침략했다. 곧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에 선전포고를 했다. 세계2차대전의
막
이 오른것이다.폰 브라운은 성능이 뛰어난 로케트개발에 전력을 다했다. 로케트 연료가 빨리 많이 연소해줘야 속도가 오르는데 그 방법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 하루는 수력발전소에 들렸다. 그곳에서 터빈 펌프를 ... ...
소련의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7분(모스크바 시각) ‘가가린’소령을 태운 보스토크(동방)1호가 A-1 로케트로 발사되면서
막
이 열렸다.보스토크 1호는 근지점 1백81km, 원지점 3백27km의 지구 주위 궤도를 1주하고 1시간48분 만에 지구로 돌아왔다. 그뒤 유인우주선 보스토크 계획은 계속 추진 되었다.“나는 갈매기. 지평선이 보인다. ... ...
PART2 소형로보트, 디지탈테이프, AV서라운드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것을 다시 복사할 때는 처음보다도 더욱 음질이 나빠져서 음질의 열화(劣化)현상을
막
기가 어려우나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에서는 하등 이런 염려가 필요하지 않다.콤팩트 디스크의 특성치인 다이나믹 레인지 90dB, 주파수 특성 20KHz 정도가 되므로 아마추어 용으로 등장되는 이 시스템은 새로운 음향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일본당국자들은 약 1억명의 사망자가 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읍니다. 지진은
막
을 수는 없다고해도 피할 수는 있읍니다.그러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에 언제 지진이 일어날 것인지를 예측해내야만 합니다. 그것도 아주 정확하게 날짜까지 예측해야 합니다. 1년 후다, 20년 후다 하는 ...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신경전달물질이 일부가 분리되어, 접합간격(뉴런과 뉴런사이)을 통과 확산하여 수상돌기
막
의 수용제(受容体)에 도착한다. 뉴런은 축색종말로부터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여 접합성 흥분이 접합성 억압을 능가하여 충분히 활동전압 가까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어떤면에서 뉴런은 ...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 기여할 터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정보처리분야에 여성기술사가 탄생했다. 한양여전 전산학과 전임강사인 안보희씨(35세)는 오랜 실무경력을 바탕으로 기술계 최고의 영예를 안은 ... 살릴 수 있겠지요." 준비는 많으면 많을수록 높이 도약할 수 있다는 안보희씨는 이제
막
날개를 피려고 모든 상황을 점검하고 있는 듯하다 ... ...
아인슈타인은 어떤 사람이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맞은 현대과학에
막
중한 영향을 미쳤다. 아인슈타인 자신은 현대 양자이론에 대하여 마지
막
까지 불신의 태도를 취해왔지만 양자이론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보어' '드브로이' '슈뢰딩거' '하이젠베르크' 등 당시의 젊은 주역들은 직접 간접으로 아인슈타인의 영향과 후원을 받았던 것이다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