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 남, 남대문을 열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하나하나 직접 구워낸 전통 기와로 바뀌었답니다. 지반도 발굴 조사 때 찾은 조선 후기의 기준에 맞춰 30~50㎝ 낮아졌지요. 숭례문은 앞쪽 잔디와 방재용 관리 시설을 만드는 작업이 끝나는 4월 경부터 다시 시민을 맞을 ...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할지를 여기서 결정하기 때문에 대안평가에 관심이 많아요. 그런데 사람마다 평가하는 기준이 달라요. 예를 들어 자동차를 살 때 어떤 사람은 디자인을 가장 우선시 여기고, 그 다음 안정성과 연비를 따져요. 그런데 다른 사람은 이것 저것 안 따지고 디자인만 고려해서 자동차를 골라요.따라서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불이 필요한 일인 ❶ 불 피우기(8분), ❹ 야채 익히기(7분), ❿ 야채 스프 푹 익히기(18분)가 기준이 되어야 한다. 이 계획대로라면 야채 스프를 완성하기까지 최소한 33분(8분+7분+18분)이 필요하다. 나머지 불이 필요 없는 일은 두 사람 또는 세 사람에게 잘 분배하면 된다.다음은 가이와 이프로 구성된 첫 ...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4300K, 낮의 노란 태양빛은 5600K, 푸른 하늘의 파란색은 1만K이다.촬영감독은 이 색온도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조명과 촬영할 색을 적절히 조절한다. 텅스텐 조명은 3200K, 촛불 2200K 등 이미 여러 광원이나 조명에 대한 색온도가 정해져 있어, 영상을 만드는 사람이 쉽게 색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 ...
- 먼지는 작을수록 폐 속 깊숙이 침투한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수도권은 2012년과 2011년 각각 25.2μg/m3와 29.3μg/m3로 2년 내내 환경기준을 초과했다. 2012년 기준으로 보면 뉴욕 13.9μg/m3, 런던 16μg/m3 등 서울이 세계 주요 도시보다 대기오염이 심각했다. 박진수 연구사는 “서울과 인천, 경기 등은 인근 공단과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영향이 커 연평균 농도가 ...
- Interview 서거석 대교협 신임 회장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합니다.대학평가는 수험생과 학부모, 기업에게는 대학선택 또는 인재채용의 기준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과학적이고도 신뢰성이 담보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런데 일부 평가들은 그렇지 못합니다. 대교협의 대학 평가만 해도 교육역량강화사업 선정 등에 이용되는 지표들이 획일적이라는 ...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끊임없이 고인류 화석이 발견됐습니다. 이들은 크기나 모양 등 모호하고 혼란스러운 기준에 따라 계속해서 진잔트로푸스 또는 호모 하빌리스로 분류됐습니다. 그런데 이게 웬일입니까. 어느 순간, 그 동안 모은 호모 하빌리스 화석을 죽 늘어놓고 보니 하나의 종이라고 부르기 힘들 만큼 모습이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볼 수 없을까?”로봇이 말했습니다 :인간들의 주관 안에서 시간의 길고 짧음에 대한 기준이 변화 가능함을_그리고 변화와 새로움에 대한 정의 역시 인간들의 주관 안에서 임의 조정 가능함도 압니다_ 하지만 스스로 생각하는 로봇이 개발되고 보편화되기까지 양자두뇌공학의 비약적인 발전과 로봇 ... ...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사람은 왼쪽 귀에서 공이 날아가는 소리가 들린다. 스크린에서 객석까지의 실제 공간을 기준으로 소리를 좌표로 나타냈기 때문이다.물론 실제 극장에서 이렇게까지 극단적으로 들리게 할 수는 없다. 극장은 어느 좌석에서나 동일한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3차원 음향 ... ...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음파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곡선 모양으로 전파된다.즉, 돌고래에게 직선은 사람의 기준에서는 포물선 모양이 된다. 따라서 돌고래들은 물속에서 서로 포물선 모양으로 자리잡을 때 서로의 소리를 가장 잘 들을 수 있다. 돌고래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수학!다니엘은 모두의 만류를 뿌리치고 꿈을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