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건물 지하에 자리잡고 있다. 청정도 99.9% 이상의 깔끔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70평
규모
의 클린룸(청정실)이 바로 그것이다. 클린룸에서는 수십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미세 센서와 기계를 제작한다. 미세한 유체가 오가는 관을 만들기 위해 먼지율 제로에 가까운 청정도를 유지한다.박제균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한국형 제로에너지 주택의 원형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 지은 ‘ZeSH’ 다. 건평 40평
규모
의 이 연구용 주택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통합적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제로에너지 개념이 적용됐다. 앞으로 10년뒤 경제성 있는 완전자립형 제로에너지 주택을 개발한다는 계획 아래 현재 70%이상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에서 대륙충돌대의 존재를 밝히는데는 국제적인
규모
에서 수많은 학자들이 10년 이상 가세했다. 아마도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비슷한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 한반도의 대륙충돌사와 진화사에 관해 좀더 정밀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 국민들의 더 많은 ... ...
07. 2천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상부 암석을 이루고 있으며 멋진 주상절리를 보여주고 있다. 이 용암 분출 이후에도 소
규모
의 분출과 관입이 일어났지만, 이 용암의 분출과 함께 독도의 화산활동이 사실상 막바지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때가 지금으로부터 대략 2백50만년 전이다.이때 분출된 용암의 양은 엄청났다. 그로 인해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충돌은 한반도 주변으로 거대한 산맥을 형성시킬 것이다. 또한 한반도는 충돌로 인해 대
규모
의 지각변동을 겪으면서 지금보다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자연사 10대 사건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 ...
21세기형 동물원, 생태동물원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미 20여년 전부터 발전하고 있다.미국의 네브라스카 오마하동물원은 지난해 4천평
규모
의 커다란 사막돔을 지었다. 세계의 유명한 사막 환경을 재현하고 그곳에 살고 있는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뿐만 아니라 선인장 같은 식물류 등 다양한 생물상을 그대로 옮겨온 듯 하다. 한 장소에서 여러 ... ...
6번째 멸종기 다가오나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함께 실린 영국 개방대의 칼리 스티븐스 박사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최근의 대
규모
개체수 감소는 축산업과 화석연료가 원인이었다. 영국의 초지 68군데를 조사한 결과 화석연료의 연소나 가축의 배설물을 통해 토양에 축적된 과도한 양의 질소가 생물종의 20%를 멸종에 이르게 했다는 것.미국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백악기 후기에 한반도의 공룡은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등 전국에 분포하는 10개 이상의 소
규모
분지에서 발견된다. 경상분지 외에 공룡화석이 가장 잘 알려진 곳이 해남분지와 시화분지이다.백악기 후기 어느날 전남 해남의 호숫가에 몸 길이 15m의 거대한 용각류들이 얕은 호숫가를 건너고 있었다.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양이 여러 형태의 갯벌을 만드는데 적절하기 때문이다. 중국에 비해 서해로는 강의
규모
가 작아 적절한 양의 퇴적물이 공급된다.또한 겨울철 북서쪽에서 불어오는 몬순계절풍으로 우리의 서해가 중국보다 파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도 또하나의 요인이 된다. 갯벌에 파도가 치면 가벼운 펄이 ... ...
인텔, 한국에 R&D센터 문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제외하고 핵심 연구 조직을 두지 않는 것이 본사의 입장”이라며 “연구진과 시설의 대
규모
이동은 아마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한 관계자도 “새로 설립된 R&D센터의 연구 주제 대부분이 센터 설립에 앞서 실시된 실사 결과에 따라 결정된 것”이라며 “개발된 기술의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