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이클
싸이클
자전거 bike
스페셜
"
cycle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살아간다. 그것이 바로 자연 생태계에 숨겨져 있는 생명에 의한 ‘탄소 순환(carbon
cycle
)’이다. 결국 지구 생태계는 이산화탄소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탄소가 우주 공간이나 지구에 지천으로 널려있는 것은 아니다. 탄소는 우주 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는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그런데 수년 전 또 다른 적응 열발생 과정이 발견됐다. ‘크레아틴 공회전’(futile creatine
cycle
에 대한 공식 번역어가 아직 없어 내가 임시로 만든 용어다)으로 짝풀림 반응과는 좀 다르다. 세포호흡으로 만들어진 ATP가 근육 수축 같은 의미 있는 작업에 연료로 쓰이는 대신 크레아틴을 ... ...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운 웹 망원경 관측 시간 따내기
연합뉴스
l
2022.02.16
초기 몇 년간만 진행되고 이후에는 일반 관측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첫해 일반 관측(
Cycle
1 Go)에는 총 266개 프로그램에 약 6천시간이 배정됐다. 각국의 과학자들로부터 총 1천173건 약 2만4천500시간의 제안서를 받아 익명으로 심사를 진행해 선정했다. 첫해 일반 관측에는 41개국 과학자 2천200여명이 ... ...
[우주산업 리포트] 한국도 주목해야할 중국의 우주백서
2022.02.04
재사용 발사체 개발에 대한 필요성도 강조했는데 이를 위해 “복합 사이클(combined
cycle
) 엔진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라고 했다. 복합 사이클은 지구 저궤도에 인공위성을 보내는 데 있어 로켓과 공기흡입 기관을 혼합 사용하는 방법으로 재사용 로켓을 만드는데 필요한 핵심기술 중 하나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이름은 피리어드(period·주기), 타임리스(timeless·무한한), 클록(clock·시계), 사이클(
cycle
·순환주기)로 기록되었다. 한국의 연구자 최준호 KAIST 교수와 임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는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보고하고 그 이름을 '트웬티포(twenty-four·24)'라고 지어주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초파리에게 간헐적 단식을 시켜보니
2021.10.19
지녀 평생 시차를 느끼며 피곤하게 살아야 한다. per 이외에도 클럭(clock), 사이클(
cycle
), 타임리스(timeless) 같은 생체시계의 핵심을 이루는 유전자들이 발견됐고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일주기 리듬이 발생하는 메커니즘도 밝혀졌다. 생체시계 회로 역시 포유류가 좀 더 복잡할 뿐 기본 구조는 ... ...
[팩트체크] 한국 코로나 검사, 유전자증폭횟수 적어서 확진 적다?
연합뉴스
l
2020.12.02
판정 위한 유전자 증폭 횟수 개념 이들이 국내외 기준이 다르다고 주장하는 CT값이란 '
Cycle
Threshold Value'의 약자로, 코로나19의 주된 검사 방식인 실시간유전자증폭(RT-PCR)검사법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우선 RT-PCR 검사법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진단에는 환자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걸친 추가 연구로 전모가 드러났고 이 과정을 도식화한 그림은 오늘날 ‘캘빈회로(Calvin
cycle
)’로 불리고 있다. 캘빈은 이 업적으로 1961년 노벨화학상을 단독으로 수상했다. 광합성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먼저 빛이 있어야 하는 ‘명반응’은 물분자를 수소이온과 전자로 쪼개는 과정으로 이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 이 역시 열역학 이론으로 설명이 되는데, 가장 유명한 예가 ‘카르노 사이클(Carnot
cycle
)’ 아닐까. 프랑스의 공학자 사디 카르노는 불과 28세인 1824년 이상적인 열기관을 만드는 연구를 한 결과 카르노 사이클 이론을 내놓았다. 이 과정은 다소 복잡한데(이공계 몇몇 학과에서 자세히 배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것이다. 1960년 클라이트만은 이를 가리키는 ‘기본휴식활동주기(basic rest-activity
cycle
)’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1982년 국제학술지 ‘수면(Sleep)’에 발표한 ‘기본휴식활동주기-22년 후’라는 제목의 리뷰논문에서 클라이트만은 자신의 이론을 지지하는 다양한 연구사례를 소개했다. 즉 식욕과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