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풍족"(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물do감] 생쥐도 '부익부 빈익빈'…어린 시절 행운이 평생 차이로동아사이언스 l2025.01.03
- 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마태복음에는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라는 구절이 있다. 미국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은 이 성경 구절을 인용한 '마태효과(Matthew effect)'라는 용어를 제기했다. 이름이 알려진 연구자일수록 지원금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용서와 배신의 '딜레마'2023.04.01
- 다 망하는 결과만 나오게 된다. 만약 그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않아도 괜찮고, 모든 것이 풍족하지만 온기를 느낄 수 있는 존재라고는 단 하나도 없는 무인도에서 살아도 괜찮은 사람이라면 등쳐먹기를 생존 전략으로 선택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 경우 역시 주변 사람들을 상처주는 행위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2022.07.14
- 연구를 했던 얼마 안되는 한국 과학자로 기억되어야 한다. 이제 어느 나라보다 훨씬 풍족한 연구환경을 갖게된 한국에서, 이 교수처럼 한 분야를 개척하고 선도하는 과학자가 더이상 나타나지 않는다는 건, 아이러니한 일이다. 직접 칸 영화제 수상 배우를 청사로 불러 만찬을 제공한 대통령은 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2022.06.30
- 당연한 상식조차 깨닫지 못하는 집단이다. 출처 미국국립과학재단(NSF) 그나마 자원이 풍족한 미국의 사례를 보자. 미국의 공학자인 바네바 부시의 《과학, 끝없는 프론티어》가 미국이 미국립보건원(NIH)을 중심으로 의생명과학 분야의 최강국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1945년 이후 미국에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보통과학자의 권리이자 의무는 '견제' 2022.03.24
- 생존해야만 했던 박은정 교수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IMF로 무너진 가정형편 속에서 풍족하지 않은 대학원 시절을 보냈다. 젊은 시절 고생한 이야기를 하면 꼰대라고 불릴테지만, 대부분의 대학원생이 자기 컴퓨터 하나쯤은 가지고 있던 시절에, 박사과정 내내 컴퓨터 한 대 없이 실험실 공용컴퓨터를 ... ...
- [인간 행동의 진화] 아빠의 진화2021.04.18
- 심지도 거두지도 않는데, 탐스러운 과일이 주렁주렁 달린 나무가 그득하다. 이런 풍족한 환경이라면 남성은 양육보다 새로운 짝을 찾아 번식하는 전략을 취하는 편이 유리하다. 남성, 즉 아버지의 가족 내 영향력은 줄어든다. 흔히 서구 사회의 여권이 높다고 생각하지만 ... ...
- [인간 행동의 진화] 소심함의 진화2020.12.27
- 힘겹다. 복잡한 사회구조, 줄어든 역동성, 세분된 계층구조를 감안하면 단지 ‘먹이’만 풍족하다고 행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동성에게는 좀 으스대고 싶고, 이성에게도 사랑받고 싶다. 자랑도 좀 하고, 인정도 받고 싶다. 남에게 이래라저래라할 수 있는 권력도 원한다. 라면 상자를 가득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2020.09.10
- 채우기 위해 계속해서 자금을 찾아 헤매야 했던 반면, 고드는 상대적으로 연구비가 풍족한 국립연구소에서 자금난에 허덕이지 않고 연구를 지속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초창기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전자 염기서열의 모습.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제공 핵폭탄, 컴퓨터 그리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확실성을 대비한 마음 관리법2020.04.18
- 하나는 자급자족이 가능하게끔 자원을 쌓아두는 것이다. “돈”이 대표적이다. 둘 다 풍족하다면 최고지만 그게 불가능할 때에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대체하기도 한다. 예컨대 사람들에게 거절당하거나 관계가 틀어지는 것은 슬픈 일이지만 어디선가 돈이 굴러들어온다면 사회적 고통이 감소하고 ...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2019.10.19
-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관한 연구로 이어진다. 임신과 출산, 양육 과정 중에 풍족하고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은 아기의 평생 건강을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 첫 1000일 그리고 15년 건강한 발달을 위한 결정적 시기가 있다는 가설은 강력한 근거를 계속 확보해 나갔다. 장기간에 걸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