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판화
프린트
스페셜
"
판그림
"(으)로 총 2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오이디푸스(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푼 테베 왕) 또는 이집트에서의 보나파르트 장군.’ 장 레옹 제롬 그림. 위키미디어 제공 ● 나폴레옹이 러시아 원정을 계획하게 한 원인제공자 넬슨 프랑스가 자랑하는 루브르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수많은 이집트 자료는 이집트 원정을 간 군인들이 훔쳐 온 ... ...
게임도 과학입니다만
과학동아
l
2022.06.04
게임을 좋아하는데 과학에도 흥미가 있다면, 이 파트가 더 현실적인 대안일 수 있다. 요즘은 게임도 과학이다. ‘야스오는 과학이다’의 ‘과학’과는 다른 뜻으로, 실제로 게임 업계에서 과학이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게임을 할 때마다 쌓이는 로그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터 게임에 적용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왜 '미루기의 달인'이 되어가는가
2021.06.0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백하자면 필자는 미루기의 달인이다. 내일의 일은 내일의 내가 할 거라거나 어차피 마감이 가까워지면 글을 쓰게 되어 있다는 생각들이 삶의 신조인 것 같기도 하다. 나만 그런 것은 아닌 모양인지 미루기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자기통제 실패 사례다. 이후 분명 괴로워 ... ...
[과학자의 서재]케임브리지대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생각' 던진 책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문학과 과학은 서로 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다리가 놓여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는 대학 소속 과학자 7명의 인터뷰를 통해 문학 독서가 과학자에게 주는 영감을 소개하는 '새로운 생각(Novel Thoughts)' 시리즈를 유튜브에 공개했다. 케임브리지대 유튜브 캡처 문학과 ... ...
4억년전 바다의 제왕 '판피어류' 대전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둔클레오수테오스의 복원 그림이다. 최대 몸길이가 8.8m로 중형 버스만한 육식 판피어류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4억1000만 년 전에 시작돼 3억6000만 년 전에 종료된 고생대 데본기 바다는 다양한 종류의 어류가 번성한 어류의 전성기였다. 그 가운데 직전 시기인 4억3000만 년 전 실루리아기에 등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3140배 확대한 인간의 정자. 위키피디아 제공 과학의 역사에서 16세기와 17세기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를 하나 꼽으라면 광학장비를 들 수 있다. 바로 망원경과 현미경이다. 망원경은 천체와 우주 등 과학의 연구대상들 중에서 가장 큰 (그러나 아주 멀리 있는) 것들을 보는 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해부학 실습 모습. 하이델베르크대 제공 고대 의학의 큰 줄기는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에서 초기 로마의 갈레노스에 이르는 흐름이다. 앞서 이미 소개했듯이 갈레노스는 인체보다 동물을 이용해 해부학적 지식을 얻었다. 자유롭게 사람 배를 갈라볼 수 없었던 시대의 한계라 어쩔 수 없는 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9000만 년 전 남극, 얼음 대신 숲으로 뒤덮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다양한 나무가 빽빽이 들어차고, 자그마한 공룡이 물가에서 뛰노는 숲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과거 중위도나 적도 근처 자연을 묘사한 것 같지만 그림이 표현한 곳은 놀랍게도 남극이다. 남극은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시절인 9000만 년 전에는 빙하 대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는 어떻게 폐렴을 유발하나
2020.03.23
매일 상황이 급변하는 것을 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전 세계인들이 필연적으로 큰 전쟁을 한판 벌여야만 하는 모양새다. 결국에는 인간이 승리하겠지만 그 과정이 녹록치 않아 보인다. 보다 더 빨리 그리고 피해를 최소화하며 승리하기 위해 과학자들의 지혜와 역량을 결집해야 할 때다. 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이 잃어버린 자리를 되찾아야 한다
2020.03.04
MIT 제공 한 번도 경험해본 적 없는 최악의 재앙이다. 3월 2일 현재 코로나19 확진자가 4,212명을 넘어서버렸다.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이 3만 명을 넘는다. 아직 끝을 짐작조차 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인구 10만 명 당 감염자가 8.15명으로 5.61명의 중국을 넘어섰다. 이틀 전부터 시작된 어처구니없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