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파일"(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서의 계절 가을, 독서 문외한을 위한 안내서2016.10.21
- 보지 않고 귀로 들을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전문 성우나 저자가 직접 책을 낭독하여 음성 파일로 들을 수 있는 오디오북이나 팟캐스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손과 눈이 자유로우니 라디오를 들을 때처럼 다른 일을 하면서도 책의 내용을 습득할 수 있다. 성우들이 대사를 실제처럼 연기하는 경우, ... ...
- “철저한 사이버보안 검사를 통해 국민 우려 불식시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5.11.06
- “VLMS 시스템을 사용 시에는 반드시 손으로 수기장부를 쓰게 되어 있다”며 “이를 로그파일 기록이 일치하는지 일일이 대조하면 사용 내역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수원 관계자와 함께 검사 항목을 점검하고 있는 KINAC 검사원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제공 지난해 ... ...
- 기억을 위한 시간, 잠KISTI l2015.10.10
- 낮 동안 어떤 사건의 동영상을 촬영했다고 생각해 보자. 촬영이 끝나면 용량이 큰 파일을 하나 얻겠지만, 그 안에는 온갖 불필요한 부분이 섞여 있고 내용도 뒤죽박죽이라 결코 제대로 된 영상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촬영 뒤에는 항상 불필요한 부분을 지우고 중요한 부분은 강조하는 편집 ... ...
- 나의 몸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2015.06.02
- 구매할 때 공인인증서, 아이핀,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백신 프로그램 등 여러 개의 파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손가락만 갖다 대면 한 번에 로그인이 된다. 노트북이나 자동차도 주인이 이용할 때만 반응을 하고 현관문도 ...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2015.03.17
- 기술, 제타바이트(10억 테라바이트=1조 1000억 기가바이트·3메가바이트 용량의 MP3 음악 파일을 281조 5000억 곡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술, 모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언제 어디서나 꺼내어 쓸 수 있는 클라우드 기술 등은 IT 기술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 ...
- 빅데이터 덕분에 흥미진진해지는 세상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2.11
- 2바이트를 차지한다. 바이트가 1천 개 모이면 킬로바이트(KB)가 된다. 짧은 글을 문서 파일로 저장하면 크기가 수십에서 수백 킬로바이트가 된다. 킬로바이트의 1천 배는 메가바이트(MB)다. 일반 이메일에 첨부할 수 있는 분량이 20메가바이트다. 메가바이트의 1천 배는 기가바이트(GB), 다시 1천 배가 ... ...
- [이달의 역사] 입 밖으로 나온 소리, 녹음 기술로 주워 담는다KISTI l2014.12.08
- 자기 방식으로 기록하는 카세트 테이프, 레이저로 인식하는 컴팩트 디스크(CD), 컴퓨터 파일로 저장하는 엠피스리(mp3) 포맷을 등장시켰다. 자연의 소리를 붙잡아두기 위해 수많은 시인과 음악가들이 노력했지만 에디슨은 새로운 발상과 기술을 이용해 꿈을 현실로 바꿔놓았다. 이 얘기를 빼놓을 수 ...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IBS l2014.06.10
- 요즘의 동영상 파일들은 1초에 60컷의 화면이 기본이다. 당장 컴퓨터에서 재생한 동영상 파일을 일시정지만 해도 1/60초라는 찰나를 관찰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 정도로 보편적인 기술이라면 과학기술의 최전선에 있는 연구실에서 딱히 특별한 쓸모가 있을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연속사진'은 ... ...
- 도청의 세계 ③ 도청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까 KISTI l2014.02.20
- 남이 캐낼 만한 가치가 있는 정보는 음성통화나 메신저 대화를 통해 이야기하지 않고 파일로 작성해 별도의 암호를 걸어 전송하는 것을 추천한다. 도둑을 막는 완벽한 방법은 없다. 다만 여러 겹의 자물쇠를 채워 시간을 지체시킬수록 발각되거나 체포될 확률도 높아지므로 도둑의 침입을 줄일 수는 ...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KISTI l2014.01.16
- 이럴 때 곳곳에 켜져 있는 조명으로부터 디지털 정보를 내려받아 위치를 찾거나 필요한 파일을 내려 받을 수 있다.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ED통신연구실은 자동차나 항공기의 안전운행을 돕는 기술, 시각장애인을 돕는 기술 등 가시광통신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빛만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