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
초빙
스페셜
"
초빙교수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갑상샘암, 신규원전과 관련이 있을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원전이 상관관계가 없다는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김종순 가톨릭대 의대 방사선과
초빙교수
는 한국일보에 게재한 칼럼을 통해 “원전 주변 방사선량은 법적 환경기준치인 1밀리시버트(m㏜)의 1% 정도로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더구나 우리의 기준치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도 아직 일부만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분야의 교수가 되었다. 이후 잠시 슈트라스부르크로 돌아갔다가 기센 대학의
초빙교수
가 되었고 이어 실험물리학에서의 그의 업적을 인정한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실험물리학과장 교수직을 제의받았다. 우연한 발견 1875년 영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크룩스(William Crooks, 1832~1919)는 자신이 만든 ... ...
지역소재 기업간 유대강화 및 협력활동 활성화
동아사이언스
l
2013.06.18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 회장 박용현)는 지역소재 기업간 유대강화 및 협력활동 활성화를 위한 「대전충청 기술경영인 클럽(회장 이혁렬((주)에스폴리텍 대표))」제2회 정기모임을 6월 18일(화) 대전 아드리아 호텔에서 개최한다. 이번 모임에서 KAIST 윤태성 교수가 “창조는 ‘버리는’ 능력” ... ...
[연구실 탐방]RDMIS 연구실 고속, 고감도의 방사선 검출을 선도한다
KAIST
l
2013.05.22
최근 대중들에게 원자력이 알려진 것은 석유 고갈 문제로 말미암은 대체에너지 개발과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의 영향이 크다. 이 때문에 원자력을 발전 관련 분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생겼다. 하지만 KAIST의 원자력및양자공학과의 분과에는 지속가능 원자력 에너지 기술 외에 혁신 방사선 과학 ...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글락소스미스클라인 후원 결핵 치료제 개발 국제공동연구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5월 1일(수)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후원하는 트레스칸토스 오픈랩 재단(Tres Cantos Open Lab Foundation)과 오픈랩(Open Lab)을 구축하고, ‘세포 내 숨어있는 결핵균을 죽이는 신약후보물질의 화학구조 최적화’ 공동연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이상기 순천향대 교수 “바이오 분야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 연구개발(R&D)로 승부를 걸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문 인력 양성입니다.” 이상기 순천향대 의료생명공학과·의약공학과 교수(62·사진)는 오랜 연구소 생활과 바이오기업 창업 경험을 들며 인재의 필요성을 강조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2.25
박노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본부장. 서울대 제공 “융합과학의 핵심은 ICT(정보통신기술)가 아니라 BMT(생명의료기술)입니다. ICT는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하겠지만 더 먼 미래에는 BMT가 중심이 될 거란 말입니다. 연구중심병원을 통해 BT와 IT, NT와 함께 가는(GO) ‘융·복합 HT연구단지’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9.24
이동호 KDDF 단장은 ‘범부처사업‘에 걸맞는 관리체계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DDF 제공“신약 개발을 위한 범부처사업단을 출범시키는 데만 3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범부처’를 위한 옷이 만들어지지 않았어요. 사업단에 맞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 시급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프란시스&헬렌 펜츠 과학교수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웨이크포레스트대
초빙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해 집중하는 ‘수월성 경쟁’을 해야 합니다. 제한된 연구비로 생명과학의 모든 분야에서 잘 하려는 ‘평균 경쟁’을 해서는 승산이 없습니다. 줄기세포 연구는 수월성 경쟁에서 가능성이 있는 분야입니다.” 김동욱 세포응용연구사업단장(50)은 연세대 의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