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돋이
해뜨기
삼출
해도지
넘쳐흐름
스페셜
"
일출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서머타임은 과연 과학적일까
2025.04.02
계절에 따른 차이가 급격히 커진다. 생체시계는 같은 경도에서 동일한 낮의 중심보다
일출
시간에 더 민감하므로 중위도 지역에서는 서머타임 실시가 바람직할 수 있다. 왕립학회열린과학 제공 유럽과 특히 미국은 서머타임 기간이 너무 길어 전환기의 부작용이 더 커진 결과를 낳았다. 원래 낮 1 ... ...
[헬스토크] 봄철 피부 관리, 팩 오래 붙이면 오히려 건조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3.03
자외선 차단도 중요하다. 자외선 파장 중 장파장 자외선인 ‘UVA’는 1년 365일
일출
부터 일몰까지 피부 표면에 침투하는 자외선이다. 반면 중파장 자외선인 ‘UVB’는 봄부터 조사량이 증가한다. 피부 건강을 위해서는 UVA와 UVB 두 가지 파장을 모두 차단해야 한다. 자외선차단제는 외출 30분 전 ... ...
[지구는 살아있다]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2022.04.02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우도에는 왜 이렇게 많은 홍조단괴가 자랄까요. 우도와 성산
일출
봉 사이 바다가 수심이 얕고 조류가 매우 빠르게 흐르기 때문입니다. 홍조단괴를 만드는 홍조류는 포자를 통해 번식하는데, 포자가 물속 암석 위에 붙으면 자라기 시작합니다. 이때 만약 암석이 땅에 박혀 ... ...
10년 만에 추가된 지구의 두 번째 트로이 소행성
연합뉴스
l
2022.02.03
이는 지구에서 관측할 때 L4와 L5에서 태양 궤도를 도는 천체는 지평선에서 떠오를 때와
일출
간의 몇 분에 불과한 아주 짧은 시간만 관측할 수 있는 데서 비롯됐다. 망원경을 지평선 가까이 맞추고 떠오르는 태양에서 빛이 퍼져나가는 악조건에서만 관측이 가능했다. 연구팀은 이런 조건에서 ... ...
[과학게시판] 국립대구과학관, 어린이 전용 '꿈나무과학관' 개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30
자리잡은 해상·해중 전망대로 동경 129도 24분에 자리잡아 서울보다 약 10분 일찍
일출
장면을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www.sciencecenter.go.kr)에서 보면 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과학기술문화사업 시행계획과 예산 243억 4900만 원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 ...
[지구는 살아있다]용암동굴에서 어떻게 석회동굴 생성물이 자랄까
2021.12.25
열심히 알렸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조금이나마 보탬이 된 덕분에 2007년 한라산, 성산
일출
봉과 함께 ‘거문오름용암동굴계’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선정됐습니다. 한국의 첫 세계자연유산입니다.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제주도 북동쪽 거문오름에서 바다를 향해 14㎞를 흘러간 용암이 만들어낸 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바뀌는데, 위도가 높아질수록 편차가 심하다. 북위 35° 내외인 우리나라는 하지의 낮(
일출
일몰 기준)이 밤보다 5시간 이상 길고 동지에는 5시간 정도 짧다. 안팎으로 10시간 이상 차이가 나는 셈이다. 유럽 인구 대다수가 사는 북위 40° 이상 지역은 차이가 더 심하다. 반면 적도에 가까운 저위도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황도광은 이 먼지 입자들이 반사하는 태양빛을 뜻한다. 일몰 후의 서쪽 하늘이나
일출
천의 동쪽 하늘 지평선에서 원뿔 모양으로 퍼져보이는 황도광을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서쪽 하늘의 황도광은 12월에서 3월 사이, 동쪽 하늘의 황도광은 9월에서 12월 사이 잘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이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남극에 이르는 거리가 똑같다. 이때 태양은 정동 방향에서 뜨고 정서 방향에서 진다. (
일출
에서 일몰까지 지구가 공전하는 효과는 잠시 무시하자.) 그렇다면 춘분에서 다음 춘분까지 걸린 시간을 1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한 1년을 태양년 또는 회귀년이라고 한다. 또 다른 방법이 있다. ... ...
[달 탐사 패러다임 바뀐다]아웃소싱의 시대(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트위터 캡쳐 한 남성이 붉은 스포츠카에 기댄 채 사막처럼 황량한 붉은 대륙에 서서
일출
또는 일몰을 보고 있다. 손에는 커피 한 잔이 들려 있다. 이 남성의 이름은 ‘스타맨’. 지난해 2월 미국의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쏘아올린 대형 발사체 ‘팰컨헤비’에 실려 있던 마네킹이다. 스타맨은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