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디안
아메리카인디언
indian
인도사람
세정
Sejung
세정그룹
스페셜
"
인디언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것은 생활습관이 질병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파머
인디언
의 터전. 위키미디어 제공 ● 생활습관의학(라이프스타일 의학)의 대두 유사 이래 20세기 전반까지 인류는 식량부족에 직면해 있었다. 옛말에 보릿고개란 봄철에 보리가 익을 때까지 벼에 의존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아메리카에서도 유골에서만 흔적을 볼 수 있었고
인디언
들이 뇌수술을 하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뇌수술의 발전과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아메리카 지역의 유골을 조사해 보면 오래된 수술 흔적은 생존가능성이 낮았지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美 루이지애나 넘긴 이유는 '황열'...나폴레옹의 전쟁(3)
2023.06.13
인디언
들에게 유행하는 경우 정복자들은 면역력을 가지고 있지만 면역력을 키우지 못한
인디언
들은 훨씬 큰 피해를 입곤 했다. 나폴레옹의 루이지애나 매각으로 인해 미국영토는 전보다 2배로 넓어졌고, 아이티는 1804년에 아메리카 최초로 독립국이 되었다. 나폴레옹이 루이지애나 지역을 미국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멕시코와 페루에 홍역이 전파됐고, 1546년에는 발진티푸스로 생각되는 병이 유행하는 등
인디언
들이 경험하지 못한 전염병이 수시로 유행한 것이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할 수 있었던 이유라는 것이다. 그런데 맥닐의 설명은 잉카문명 정복과정을 설명하기에 부족하므로 내용을 더 상세히 ... ...
총격 사고 美 콜로라도주, 고교생 5명중 1명 총 쉽게 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총기에 더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종별로는 백인보다 원주민(아메리칸
인디언
)과 소수인종 학생들이 총기에 훨씬 많이 노출됐다. 콜로라도주 고등학생은 5명 중 1명꼴로 권총 접근이 용이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사를 진행한 콜로라도대 공공보건대 연구진은 청소년의 자살을 ... ...
[화성사운드트랙] 슈퍼캠이 녹음한 화성의 바람 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고화질을 갖고 있다. 마즈 표면은 울퉁불퉁한 자국이 선명하다.
인디언
나바호족의 말로 ‘부지런함’을 뜻하는 예이고는 바위 표면이 금속이 박힌 듯 반짝거리는 것도 확인됐다. 바위의 이름에 나바호족의 말이 붙은 것은 퍼시비어런스 탐사물에 독특한 명칭을 부여하는 ... ...
코로나19가 드러낸 시대의 불평등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감옥에 투옥된 사람은 33%로 백인의 30%보다 오히려 높기 때문이다. 라틴계나 미국
인디언
, 성소수자 역시 비슷하다. 건강과 수명에서도 차별은 통계로 증명돼 있다. 미국 내 여성 수명은 소득 상위 20%에서는 지난 40년 동안 6년이 늘었지만 나머지 80%에서는 늘지 않았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 ...
"바이러스는 불평등하다" 코로나19가 제기한 윤리 논쟁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배 이상 차이가 난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라틴계 미국인, 미국
인디언
, 알래스카 원주민 등의 지역별 코로나19 환자 및 사망자 발생률 데이터를 수집해 비교했다. 거주자 1만 명 가운데 몇 명의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는지를 출신지나 인종 별로 비교한 것이다. 그 결과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나치와 일부 극우주의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라는 논란이 일자 지난해 11월 NASA는 북미
인디언
언어로 하늘을 뜻하는 ‘아로코스’로 바꿨다. 뉴호라이즌스호는 지난해 1월 1일 아로코스를 3500㎞ 가까이 근접 비행하며 영상을 촬영해 지구에 보내왔다. 지름 14㎞와 19㎞인 납작한 모양의 천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기적의 신약’으로 불리게 된다. 한편 멕시코의 마자텍(Mazatec)
인디언
은 도취 상태에서 샤먼 의식을 치르는데, 1950년대 이들이 의식에 앞서 광대버섯의 일종인 실로시브(Psilocybe) 버섯을 먹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수집가에게서 버섯을 받은 호프만은 1958년 유효성분을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