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부적"(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과할 때 나타나는 부작용2025.03.29
- 감사할 일이 가득한 순간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괴로웠던 경험들 속에서 부적 감정만 느꼈다기보다 여러 종류의 찬란한 다양한 감정을 경험했다고 보고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 중에는 가족, 친구, 연대의 소중함을 깨닫는 것도 포함된다. 위기가 꼭 우울이라는 결과만을 가져오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영원한 우울감·불행은 없다2025.02.22
- 자신이 처한 상황과 감정에 대한 재평가(이게 정말 우울할만한 상황인가?)를 자주 하고 부적 감정을 곱씹는 행동(예를 들어 '내가 왜 그랬지? 너무 우울하다. 나는 바보인 것 같아') 또한 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우울증이 심한 사람들의 경우 자신의 상황을 실제보다 더 훨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감과 책임감이 '도덕적 용기'를 높인다2024.12.14
- 낮은 것("이게 뭐가 나빠? 이 정도는 괜찮아")과 불안이 높은 성향은 도덕적 용기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도덕적 해리(moral disengagement) 또한 불의에 맞설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해리란 흔히 도덕적 정당화(예를 들어 "이 정도의 거짓말은 되려 유익할 수 있어"), 완곡어법 사용(예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2024.10.05
- 크게 두 가지 프로세스를 거쳐 나타난다. 하나는 감정, 특히 역겨움과 같은 강한 부적 감정을 자극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해로움을 강조하는 것이다. 육식이나 임신중절에 대해 이야기 할 때 자극적이고 잔인한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한 가지 예다. 앞서 이야기한대로 다양한 이슈에서 XX를 허용하면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2023.12.03
- 고대 이집트에서 신격화된 파라오의 왕권을 보호하는 상징이자 건강과 치유를 상징하는 부적의 하나였던 호루스의 눈은 악의 신 세트(Seth)에 의해 찢어졌다가 나중에 지혜와 정의의 신 토트(Thoth)에 의해 마법적으로 복원되었다고 전해진다. 눈이 찢어지고 복원된다는 점에서 이미 눈과 안과에 대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2023.11.05
- 확실히 인지한 후에 시술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수술의 역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부적 사용을 위해 귀와 코를 뚫는 문화가 귀와 코 재건술을 발전시키고, 전상자의 사회복귀를 돕는 과정에서 재건술과 미용수술이 동시에 발전했다. 의학의 발전은 역사, 사회, 문화 속에서 발전함을 보여주는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2023.01.03
- 성형하는 수술 수준이 아주 높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 코와 귀에 성형술이 필요했던 것은 부적을 달고 다니기 위해 귀에 구멍을 뚫고, 절도죄 처벌을 위해 코를 절단하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럽에서는 15세기 중반에 독일의 폴스포인트(Heinrich von Pfolspeundt)가 팔 뒷쪽 피부를 코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숙한 사랑의 토양은 '인내'2022.11.26
- 많은 사람들이 연인이나 배우자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좋은 감정 못지 않게 다양한 부적 감정을 함께 보이는 편이다. 다 좋은데 설거지를 너무 못한다든가 가끔 보면 좀 이기적이라거나 또는 예전에 내게 크게 상처를 준 적이 있다는 등 상대를 향한 다양한 생각과 감정이 뒤섞여 나타난다. 따라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해야할 일 미루는 사람들의 특성2022.08.13
- 주의를 돌릴 줄 알고, 할 일을 까먹지 않고 잘 기억하며 계속 상기하는 습관이 미루기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어떻게 하면 미루는 행동을 줄일 수 있을까? 미야케에 의하면 교육 현장의 경우 교육 자료를 열람하는 데 '기한을 둔다'든가 마감 일에 대한 '리마인더를 자주 주는 것' 등이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이후의 ‘뉴노멀’, 두려워할 이유 없다2020.05.13
- 1천 만 명 수준이었다. 콜레라가 극성할 당시 조선 민간에서 쓰였다고 알려진 고양이 부적 (샤를 바 라 외 지음, '조선기행'). 한국역사연구회 제공 바이러스와의 갈등이 더 잦아지고, 심각해진 것이 아니다. 오히려 19세기 말부터 병원체의 정체와 감염 경로를 파악하고, 과학기술을 이용한 보건위생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