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돌
자갈
돌
석재
스톤
돌맹이
짱돌
스페셜
"
돌멩이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의 감각 지닌 문어 다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5
내부 세포 표면에 분포하는 이 단백질은 물에 녹지 않는 분자를 가려낸다. 분자는 문어가
돌멩이
인지 게 인지를 판별하는 근거가 된다. 분자 구성이 서로 달라서다. 연구팀은 “빨판으로 어떤 물체의 맛을 보는 것과 같다”며 “사람이 달리기를 할 때 발을 보지 않고 뛰는 것처럼 문어 다리의 빨판 ... ...
[지구는 살아있다]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2022.04.02
암석에 붙어 자라는 모습입니다. 홍조류가 돌에 붙어 자라며 축적한 탄산칼슘이 나중에
돌멩이
처럼 단단하게 굳어진 것을 ‘홍조단괴’라 부릅니다. 홍조류가 살아있을 때는 붉은색이다가 홍조류가 죽으면 색소가 사라져 흰색이 됩니다. 홍조단괴는 석회암 속에서 많이 발견되고, 지금도 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성립
2021.05.13
돌멩이
가 더 빨리 떨어지는가 하는 질문 자체가 의미가 없다. 그저 지구라는 엄청나게 큰
돌멩이
가 자신들에게 다가올 뿐이다. 등가원리가 새로운 중력이론을 향한 결정적인 돌파구임을 깨달았지만 천하의 아인슈타인에게도 그 과업을 완성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몇 년을 돌고 돌아 아인슈타인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이 우주의 속도제한, 그리고 E=mc²
2021.04.15
차 세계대전에 어떤 무기가 등장할지 나는 잘 모른다. 다만 4차 세계대전에서는 막대기와
돌멩이
로 싸우게 될 것이다.” 상대성이론은 단어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흔히 철학에서의 인식론적 상대주의와 혼동되곤 한다. 상대주의는 사람이 처한 상황에 따라 진리 또는 진실이 달라질 수 있다는 ... ...
[소재의 미래]⑸전 세계 전기 자동차가 선택한 궁극의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장작을 쌓으면 전체 구조가 견고해 쉽게 밀리거나 움직이지 않는다”며 “반면 둥그런
돌멩이
를 쌓이면 바람만 불어도 쉽게 무너진다”고 말했다. 선 교수는 이런 원리로 만든 양극재를 ‘농도구배형’이라고 불렀다. 농도구배형 양극재는 배터리 용량을 좌우하는 니켈로 중심에 밀집시키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게 있는가. 지상계의 운동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본성적 운동이다. 무거운
돌멩이
를 손에서 놓으면 땅으로 떨어진다. 가벼운 깃털은 하늘로 올라간다. 왜냐하면 무거운 물체는 무겁다는 본성 때문에 그 본성의 근원인 지구를 향하게 되고 가벼운 물체는 가볍다는 본성 때문에 그 본성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아주 흔해 빠진 별이다. 지구는 그 주변을 돌고 있는, 더 흔해빠진 돌덩어리에 불과하다.
돌멩이
하나가 어떤 별 중심을 도는 데에 걸리는 시간에 자연의 보편법칙이 깃들어 있지는 않다. 이렇게 생각해 보면 더 쉬울 것이다. 1960년의 정의로는 우주 반대편에 있는 외계인에게 1초를 설명할 길이 없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지구가 보편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지구는 우주에 깔려 있는 무수히 많은 조그만
돌멩이
중 하나에 불과하다. 반면 크립톤86은 주기율표에 있는 36번째 원소의 특정한 동위원소이므로 과학이 충분히 발달한 문명권이라면 이 원소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자연표준은 우리 우주의 보편성을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좋은 동물이 도구를 사용하는 건 물론이고 TV다큐멘터리에서는 해달이 배영 자세로 누워
돌멩이
로 조개를 깨는 장면도 나온다. 즉 도구사용이 인류만의 발명이 아니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색이 바랬다. 게다가 미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의 영장류학자 리처드 랭엄은 불을 이용한 요리가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인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루가 지날 때마다 나무에 홈을 파거나 막대기 또는
돌멩이
를 하나씩 옮겨 표시했다. 새김 눈 하나는 하루, 새김 눈 둘은 이틀과 같이 표시한 것이다. 그들은 달이 찼다가 지고 다시 차는데 거의 30일이 걸린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30일이 지날 때마다 하루를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