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굴갱
채광소
광업소
갱도
스페셜
"
광산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성미자 변신은 무죄
IBS
l
2015.11.16
한동안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다. 마지막 변환상수와 남은 미스터리 일본 카미오카
광산
의 지하 1000m 깊이에 설치된 슈퍼카미오칸데. - super-kamiokande 제공 마지막 중성미자 변환상수는 2012년 한국의 ‘원전 중성미자 진동변환 실험(RENO)’과 중국 ‘다야 베이(Daya Bay)’ 실험에서 측정됐다. 특히 ... ...
광물로 움직이는 세상, 우라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우라늄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업들도 2000년대 후반부터 우라늄
광산
개발에 참여해 우라늄 확보에 나서고 있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원자번호가 가장 큰 원소 우라늄(uranium)은 자연에서 비교적 쉽게 발견되는 원소 중에서 원자번호가 가장 큰 원소다. 물론 우라늄보다 ... ...
무분별하게 자원 낭비한 나우루의 비극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19
얼마나 몰락했는지 짐작하고도 남음이다. 자연환경 파괴도 심하다. 100년가량 노천
광산
에서 인광석을 채굴해 왔기 때문에 국토가 황폐해졌을 뿐 아니라 평균 고도도 낮아졌다. 결국 나우루는 섬나라 투발루와 마찬가지로 지구온난화로 가라앉을 위험에 처해있다고 한다. 현재 상황이 극적으로 ... ...
자연과 조화를 이룬 해외의 방폐장 시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6
밀봉하여 퍠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가장 늦게 승인된 콘라트(Konrad) 처리장은 폐 철
광산
을 이용했다. 현재 건설중으로 2019년 이후 준공될 예정이다. 아세2 운영 당시 몇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어 보완작업이 진행되었으나, 몰스레벤과 콘라트는 이러한 교훈을 반영하여 높은 안전성을 확보했다.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지구 나이와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직접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겠다고 나섰다. 그는
광산
에서 땅을 파 내려갈수록 더워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땅속으로 갈수록 온도가 올라가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생각했다. 지구는 소행성들의 충돌로 생겨났고 충돌 때의 에너지로 녹은 바위들이 한 덩어리로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③] 땅속의 무한 에너지, 지열
동아사이언스
l
2014.08.04
지구의 온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은 16~17세기에 지하 수 백 미터까지
광산
개발이 이루어지면서부터다. 그러다 18세기에 들어서 최초로 온도계를 이용해 땅속 온도를 측정하게 됐다. 지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19세기 초에 이미 에너지원으로써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된 것이다. 와트는 자신의 아이디어대로 강력한 보일러에서 나오는 증기력을 이용하면
광산
의 양수 펌프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른 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자신이 시범적으로 제작한 모형에 따르면 화력 기관의 연료 소비를 75퍼센트나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새로운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2
꾸준히 만들어진다. 이런 자원들을 캐낼 수만 있다면 점차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땅 위의
광산
을 바다가 대체할 수도 있다. 문제는 바다 밑바닥에 있는 자원을 채취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깊은 바다는 육지와 다르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광물을 건져오는 건 불가능하다. 공기가 없는 것도 문제지만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0
꾸준히 만들어진다. 이런 자원들을 캐낼 수만 있다면 점차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땅 위의
광산
을 바다가 대체할 수도 있다. 문제는 바다 밑바닥에 있는 자원을 채취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깊은 바다는 육지와 다르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광물을 건져오는 건 불가능하다. 공기가 없는 것도 문제지만 ... ...
창조경제의 성공은“발상의 전환”으로부터
동아사이언스
l
2013.09.05
기판으로 이동하지 않고 진공 챔버 출구에 증착되어 막히는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광산
란, 광반사 기술을 적용해 고분자 유기물질의 균일한 분사와 증착문제를 해결하고,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을 적용하여 출구에 유기물질이 증착되는 현상도 막을 수 있었다. 이 기술로 55인치 이상의 대형 OLED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