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뉴스
"
인공적임
"(으)로 총 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쥐 뇌에서 찾은 '욕망의 다이얼'…부작용 없는 비만치료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쥐 뇌에서 음식 섭취 욕구를 조절하는 새로운 신경 회로가 확인됐다. 다양한 종류의 식욕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쥐 뇌에서 음식 섭취 욕구를 조절하는 새로운 신경 회로가 확인됐다. 특정 뇌 부위를 '켜거나 끄는' 것만으로 배가 부른 상태에서도 계속 먹게 하거나 극심한 허기에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 받으면 작동하는 나노기계
동아사이언스
l
2025.08.03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마치 실타래를 감듯이 한 개의 분자 가닥이 회전하며 점차 꼬여 들어가고 결국 두 개의 고리로 연결되는 과정을 표현한 이미지를 실었다. 분홍색 궤적은 분자 모터가 어떻게 분자 구조를 정교하게 회전시키는지를 보여준다. 최종적으로 ‘기 ... ...
수천겹 '전복 껍데기' 구조 모사한 유연·고강도 전자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전복 껍데기는 서로 다른 성질인 유기층과 무기층이 차곡차곡 수천겹 쌓인 '초격자(superlattice)' 구조를 이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전복 껍데기 구조를 모사해 유연하면서도 단단한 소재를 개발했다. 일반 절연체보다 전기 저장효율이 높아 웨어러블 장치나 반도체 소자 등 차세대 ... ...
납 원자핵이 금 원자핵으로…LHC에서 실현된 영겁의 연금술
2025.07.26
Midjourney, 과학동아 제공 2025년 5월 7일 국제 학술지 ‘Physical Review C'에 게재된 한 논문이 순식간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유는 간단했다. 바로 금(Au)이다. 이 논문은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에서 납(Pb) 원자핵들을 가속 충돌시키는 실험 도중 납 원자핵이 아주 짧은 ... ...
실험실서 만든 치즈, 3~4년 내 유럽 식탁에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실험실에서 배양한 치즈가 3~4년 내 시중에 판매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실험실에서 배양한 치즈가 향후 몇 년 내 식탁에 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치즈와 맛이 유사하고 영양상 이점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13일(현지시간)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영국 스타트업 ‘베터 ... ...
10cm만 자라고 단백질 풍부한 쌀…우주농업 연구 성과 가시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유전자 교정을 통해 우주 재배에 보다 적합한 형태로 개량한 벼의 모습. 밀라노대 제공. 국제우주정거장(ISS)과 달을 넘어 화성으로 이주하는 등 심우주로 진출하는 원대한 계획을 세운 인류가 우주공간에서 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주농업'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지구에서 식량을 갖고 가는 ... ...
'인간 DNA 합성' 프로젝트 착수…'맞춤형 베이비' 우려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인간 DNA를 합성하는 연구가 시작된다. 일부 과학자들은 맞춤형 아기 탄생 등 기술 오용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맞춤형 아기'의 탄생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금기로 여겨졌던 ‘인간 DNA 제작’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프로젝트 팀은 생명체를 만드는 시도는 하지 않겠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1℃ 오르면 1인당 120Kcal '식량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5.06.21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인공적으로 물을 끌어온 이집트 서부 사막 농경지 위치들을 동그란 패치로 표현한 위성 이미지가 실렸다. 자연 강수량이 부족해 인위적으로 물을 끌어와 농경지에 공급하는 것을 ‘관개’라고 한다. 관개 용수는 가뭄 등으로 척박해진 땅 ... ...
韓 핵융합에너지 포럼 개최…국제핵융합플라즈마학회 연계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케이스타(KSTAR) 프로젝트는 태양 같은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현상을 거대한 '토카막' 구조에서 인공적으로 일으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9일 대전 컨벤션센터(DCC)에서 핵융합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 방향을 모색 ... ...
핵융합 방해한 고에너지 입자로 핵융합 효율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05
케이스타(KSTAR) 프로젝트는 태양 같은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현상을 거대한 '토카막' 구조에서 인공적으로 일으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핵융합 성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핵융합로 내의 고에너지 입자들이 오히려 핵융합 효율을 높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