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뉴스
"
이미지
"(으)로 총 8,606건 검색되었습니다.
폐암을 만성질환처럼…"병원 덜 가고 오래 살고 편하게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9.10
나타낸
이미지
.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6일부터 9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국제폐암학회(WCLC 2025)'에서 글로벌 제약사들은 자사의 간판 치료제를 더 편리하고 오래 쓸 수 있도록 발전시킨 전략을 소개했다. 폐암 환자의 약 80%를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의 초점이 ... ...
'19만원 혈액검사'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검증…英 임상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9.10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을 겨냥한 새로운 혈액 검사 임상시험이 시작됐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영국에서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을 겨냥한 새로운 혈액 검사 임상시험이 시작됐다. 검사 비용은 100파운드(약 19만 원)로 상용화시 환자 접근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10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 ...
민들레 홀씨 잘 불어 날리는 과학적 비결…"아래에서 위로 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9.10
퍼뜨리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바람이 불면 홀씨 밑동이 쉽게 절단돼 떨어져 나간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민들레 홀씨를 효과적으로 불어 날릴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 제시됐다. 줄기가 있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부는 바람에 홀씨가 잘 떨어져 나가도록 설계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홀씨가 ... ...
스마트폰 AI로 자폐 선별, 기존 검사보다 정확도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9.10
표현한
이미지
.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스마트폰을 이용해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선별하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가 진단에 앞서 일상생활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도구가 개발됐다. 세브란스병원은 천근아 소아정신과 교수, 김휘영 신경외과 ...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인간 뇌 진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ASD·Autism Spectrum Disorder)는 전 세계 어린이 100명 중 약 1명에게 나타나는 발달 장애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Autism Spectrum Disorder)는 전 세계 어린이 100명 중 약 1명에게 나타나는 발달 장애다. 사회적 의사소통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관심사가 ... ...
"네가 보는 파란색=내가 보는 파란색"…뇌 활동 패턴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뇌는 특정 색깔에 비슷한 방식으로 반응한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내가 보는 파란색과 다른 사람이 보는 파란색이 같은 색일까. 수십 년 동안 철학자와 신경과학자들을 괴롭힌 이 문제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안드레아스 바텔스 독일 튀빙겐대 시각신경학과 교수 연구팀은 ... ...
질병청 "데이터 과학, mRNA 백신 개발 역점 둘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올해와 내년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고 밝혔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질병관리청(질병청)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과학 중심으로 질병청 업무를 혁신하고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을 개발해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9일 ... ...
돼지 신장 이식 환자 6개월 이상 생존 중…'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이상 생존하며 투석 없이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을 나타낸
이미지
.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미국에서 유전자를 바꾼 돼지 신장을 이식받은 67세 남성이 6개월 이상 생존하며 투석 없이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 장기를 이식받은 사람이 가장 오랜 시간 생존하며 신장 ... ...
정상세포·암세포 경계서 정상세포로 되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에서 세포를 정상화하는 전략이 확인됐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비정상적인 세포를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리는 ‘복귀 스위치’를 찾아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국립암센터는 신동관 생물정보연구과 교수가 조광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복귀 ... ...
AI 분석으로 자폐증 감각 이상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감각 이상과 뇌 연결 이상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냈다. 자폐를 나타낸
이미지
. 게티
이미지
뱅크 인공지능(AI) 분석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에서 나타나는 감각 이상과 뇌 연결 이상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냈다. 뇌 시상과 대뇌 피질 사이의 연결성이 ASD 환자에서 과잉연결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