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뉴스
"
에너지밀도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친환경 항공유로 거듭난 폐목재 유래 성분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국내 연구진이 폐목재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인 리그닌을 친환경 항공유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목재의 이미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폐목재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인 리그닌을 친환경 항공유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항공 산업의 탄소 ... ...
[표지로 읽는 과학] "화성, 과거엔 따뜻하고 습했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화성의 적도 아래에 위치한 분화구인 ‘게일 크레이터’의 시추 현장이 담겼다. 미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로버인 '큐리오시티'가 촬영한 사진이다. 벤자민 M. 투톨로 캐나다 캘거리대 지구·에너지·환경학과 교수 연구팀은 17일 사이 ... ...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성능 높이는 핵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국내 연구팀이 전고체 배터리의 전해질 성능을 높이는 핵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전고체 배터리의 전해질 성능을 높이는 핵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기존 가연성의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미토콘드리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생로병사(生老病死). 불교에서 말하는 네 가지 고통(四苦)에 대해 젊었을 때는 별 감흥이 없었는데 나이가 들면서 점점 무게감이 느껴진다. 심신이 늙는 게 뚜렷이 자각되면서 요절하지 않는 한 누구나 겪어야 할 숙명임이 와닿기 때문일까. 그래서인지 요즘 ...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용액 속 단백질량 측정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논문 인용(citation)은 저자들이 이전 논문의 내용을 인정하고 끌어들여 자신의 논리를 뒷받침하는 것을 말한다. 논문의 인용 횟수는 논문의 영향력, 파급력을 측정하는 기준으로도 쓰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은 1951년 발표된 용액 속 단백질량을 측정하는 분석 ... ...
음극재 바꿔 전기차 배터리 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송 연구원은 “고출력·고안정성·고
에너지밀도
를 동시에 구현하는 복합 전극 개발과 나트륨이온전지로의 확장성은 이차전지 음극 시장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doi.org/10.1021/acsnano.5c00528 (왼쪽부터) 박수진 ... ...
윤훈한 GIST 교수, '2차원 물질 젊은 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윤훈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반도체공학과 교수(왼쪽 6번째)가 13일 중국 칭화대 국제대학원에서 열린 '2025년 2차원 물질 신진 젊은 과학자상' 시상식에서 수상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IST 제공. 윤훈한 광주과학기술원(GIST) 반도체공학과 교수가 국제 물리학회로부터 젊은 과학자상을 받았다. ... ...
첨가제 하나로 리튬 금속 전지 짧은 수명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다기능성 전해질 설계를 적용한 배터리를 나타낸 이미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50도(℃) 고온의 극한 환경에서도 오랜 수명을 유지하는 다기능성 전해질을 개발했다. 가볍고 에너지 밀도 높은 배터리 개발로 이어질지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진우 KAIST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리 ... ...
커피믹스 양산 공법 응용해 고용량 이차전지 전극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5.04.07
황인성 한국전기연구원(KERI) 선임연구원이 이차전지 전극 재료가 섞인 복합 분말을 필름 형태로 만드는 캘린더링 공정을 통해 이차전지용 건식 전극을 제조하고 있다. KERI 제공 국내 연구팀이 커피믹스 등을 대량 생산하는 공법인 분무 건조 방식을 응용해 고용량 이차전지 전극을 제조하는 기술을 ... ...
“반 고흐 그림, 물리학 법칙 적용됐다는 주장은 '무리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빈센트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 뉴욕현대미술관 소장 빈센트 반 고흐의 대표작 '별이 빛나는 밤'은 지난해 과학계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하늘을 휘감는 소용돌이를 표현한 생생한 붓터치에 물리학의 이론 중 하나인 '콜모고로프 난류 이론'이 적용됐다는 중국과 프랑스 연구팀의 주장이 제기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