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첫 '대변 은행' 가보니…"미생물로 병 고쳐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4.26
좋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2024년 11월 발표됐습니다. 안니카 융 스웨덴 예테보리대
교수
팀은 각기 다른 환경에 있는 생후 3일부터 18개월 유아 28명의 대변을 분석했습니다. 먼저 농장에서 자란 유아의 대변에는 1g 당 약 1억~10억 CFU의 대장균이 있었지만 농장에서 자라지 않은 유아의 대변에는 10억~10 ... ...
AI '딥시크'는 시작에 불과…中 과학굴기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25.04.26
집권 이후 더 고도화되는 미·중 패권 싸움 사이에서 한국은 더 영리해져야 한다. 백
교수
는 "안보가 중요하고 경쟁이 치열한 전략 기술 분야의 협력은 신중하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분야에서는 중국과 협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미국의 대안이 중국이라는 생각은 금물입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세포 분포 파악해 간암 재발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5.04.26
데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나타낸 표지다. 챙 선 중국과학기술대 제1부속병원
교수
팀은 종양에서 인체 면역세포인 '자연살상세포(NK세포)'의 공간적 분포와 간세포암 재발률이 관련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NK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간세포암의 재발 가능성을 ... ...
[헬스토크] “환절기 목감기 아냐”…쉰목소리 2주 이상 지속되면 ‘음성장애’
동아사이언스
l
2025.04.26
줄이고, 식사 후 바로 눕지 않도록 하는 것 등이 음성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김현범
교수
는 “음성 장애는 단순히 목소리가 안 좋다를 넘어서서 직업적·사회적 문제 등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으로 예방과 조기 치료가 어렵지 않고 약간의 관심만으로도 충분히 극복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 ...
장내미생물, 원인 불명 만성통증 치료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점에서 후속 대규모 연구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다보고 있다. 연구를 이끈 미네르비
교수
는 “아직은 초기 단계로 결과를 신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하면서도 "통증 치료와 관련해 앞으로 나아간 고무적인 결과"라고 말했다. - doi.org/10.1038/d41586-025-01290 ... ...
[동물do감] "뭉치면 두렵지 않아"…보노보 암컷의 높은 서열 유지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수컷에 맞서 팀을 형성해 힘의 균형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기울인다는 것이다. 서백
교수
는 "그동안 과학자들이 수십 년 동안 보노보 사회에서 암컷의 힘이 나오는 근원에 대해 궁금해 했다"며 "그 답이 암컷 연합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연구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보노보 연구를 통해 ... ...
이주호 "의대생, 수업 불참은 어리석어"…학계 "정원 1000명 늘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통해 중장기 수요를 업데이트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
교수
는 ”증원 배출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증원의 추이를 면밀히 분석하면서 의대 정원 규모를 미세 조정해나가는 방안이 합리적“이라며 ”의사 인력의 지역 간, 부문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대책이 병행돼야 ... ...
거미줄에서 '희생자 뼈' 몸에 붙이는 기괴한 육식성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별명이 붙었다. 다니엘 루비노프 미국 마노아하와이대 식물 및 환경과학부 곤충학과
교수
팀은 거미줄에서 희생자의 몸 일부를 몸에 붙여 뒤덮고 다니는 육식성 애벌레를 처음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나비나 나방의 유충인 애벌레는 보통 식물의 잎 ... ...
'10분 수술 컷' 남성 피임법, 임상에서 최소 2년간 효과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효과를 속단해선 안 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다. 존 오틀리 미국 워싱턴주립대
교수
는 24일 가디언을 통해 “아담의 가역성을 보여주는 데이터는 공개되지 않았고 이식 효과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도 불분명하다”며 “이식한 하이드로겔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도 입증되지 않았고 건강에 ... ...
100년 전 세브란스병원 담긴 희귀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널리 유행한 말라리아 치료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영상에는 의대 학생과
교수
등이 졸업식장을 향하는 모습, 간호사와 간호 학생의 모습 등 의학 현장의 모습도 담겼다. 당시 간호사와 간호 학생은 모자(너스캡)와 옷으로 구분 가능했다. 간호사 모자 아래 부분에는 띠가 있었고 학생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