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험담
체험기
실무담
실무
감상문
어린이과학동아
"
경험담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막힐때 꿀팁
포스팅
l
20250125
1.숨을 끝까지 내쉬세요.2.손가락으로 코를 막고 숨을 참으세요.3.20~30초정도 숨을 참고있으세요.(어려우면 10초면 있어도 됩니다)4.천천히 코를 막던 손을떼고 숨을 크게 쉬세요. 이렇게 하면 진짜 뚫린답니다(
경험담
) ...
[인생 책 챌린지] 전사들 1부 소개 (스포 싫으면 들어오지 마세요)
기사
l
20241130
통해 전사가 된 파이어하트의 의심은 레이븐포가 훈련병 시절 타이거 클로가 부지도자가 되기 위해 레드테잉 (부지도자)를 죽였다는
경험담
을 들었을 때 부터 커져가고 있었다. 결국 지도자가 되고 ...
조선 시대 바다생물 백과사전『자산어보』전시에 대하여
기사
l
20241005
색깔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고 해부를 통해 해삼[해삼]의 창자는 닭의 것과 같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 정약전은 섬사람들의
경험담
과 이야기를 듣고 방대한 양의 지식을 얻었다. 예로는 거라[밤고둥]은 밤에 횃불을 피우면 낮에 집는 것보다 잘 잡힌다는 것과 영남에서 잡히는 청어는 척추가 74마디이고 호남에서 잡히는 청어는 척추가 54마디라는 ...
우주를 향한 호기심을 가진 우주인재가 되기 위해!!
기사
l
20240903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직접 찍은 사진. 안형준 연구원님의 강연)마지막 순서로 안형준 연구원님은 실제 우주인 선발 테스트
경험담
과 참고사항을 알려주셨는데요,저는 안형준 연구원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체력을 좀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우주는 이 지구의 중력을 벗어나야만 갈 수 있기 때문에 그걸 버틸만큼 체력이 좋아야 한다라는 것을 알고 ...
각자만의 색체를 가지는 것을 키워주는 Humans In Space! HIS YOUTH에 다녀오다
기사
l
20240829
책 ‘우주에서 기다릴게’와 같은 제목이였는데요 (이미지 출처 교보문고) 제가 정말 궁금해하던 여러 우주인에 관한 사실들을
경험담
같이 말씀해주셔서 정말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또 감명깊게 들었던 것 같습니다. 이소연 박사님이 한국 우주인을 뽑는 ‘우주에 가는 길’에 올라서신 것은 이소연 박사님이 대학원에서 학위를 따고 계셨을 때였습 ...
이소연 박사님과 함께, 우주에서 기다릴게
기사
l
20240823
지구를 보면 어떤 기분이 들고 어떤 생각이 들지 궁금해졌고, 또 상상해보기도 했습니다. 이런저런 생각들을 하고 이런저런
경험담
을 듣다보니 어느새 강연이 끝날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소연 박사님은 마지막으로 "지구는 인류의 요람이지만, 인류는 요람에 영원히 머물 수 없다" 라는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의 명언을 인용하셨는데요, (콘스탄틴 치올코 ...
생일빵 40대
경험담
포스팅
l
20240522
*여기 나온 절 때린 얘들은 모두 저도 때렸던 얘들이기 때문에 욕하지는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ㅋㅋㅋ 학교를 갔어요. 아무도 안때려요! 행복했어요. 근데 얘들이 점심먹고 때린데요. 안믿었어요. 점심을 먹었어요. 7반에 얘들이 모여있었어요.(전 1반임) 작년 재작년 그리고 농구 축구했던 친구들 약 30명이 원으로 감쌌어요. 사물함에 등을 지고 섰어요. 발로 엉덩 ...
님들 주의해야 하는게
포스팅
l
20240316
너무 까면 정지 먹을 수 있어요
경험담
임 ...
버스나 지하철은 혼잡도를 어떻게 잴까? [챌린지 5/8]
기사
l
20230424
혼잡도가 나와 있는데 이 단계는 혼잡, 보통, 여유로 3단계 이다. 요즘 서울 지하철 전광판엔 실시간으로 혼잡도가 나와있다. 게다가
경험담
으로 엄청나게 많은데 보통이라고 뜨는 경우도 있었다. 이 혼잡도.. 어떻게 재는걸까? 기관사분이 실시간으로 보기라도 하는 걸까? 서울교통공사 관계자가 말한 바로는 "신형 자동차 전광판에 혼잡도가 나타나는 경우 ...
이렇게 해 봐요! 발표 잘하는 방법
기사
l
20220430
원고가 갖추어야 할 세 가지 기본 요소 서론: 청중의 주의를 끌고 여러분이 발표하는 주제에 관심을 집중시킬 기회에요. 재미있는
경험담
이나 극적인 이야기를 활용하거나, 흥미로운 질문을 맨 처음에 던져도 좋아요. 본론: 원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에요. 여러분이 전달하고 싶은 사실과 아이디어를 보다 자세히 전해요. 중심이 되는 주제를 뒷받침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