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학
옵틱스
d라이브러리
"
optics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더 키울 수 있어 천문학자들은 반사망원경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또 적응 광학(adaptive
optics
)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 대기의 흔들림도 보정할 수 있게 됐다. 적응 광학은 광학적 왜곡의 영향을 줄여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망원경에 이 기술을 더하면 대기에 의한 영향을 거의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대해 토론을 하는 자리인 ‘네이처 포드캐스트’에서 이렇게 설명했다. 기하광학(geometric
optics
)이란 빛이 지나가는 경로를 선으로 표시하며 반사와 굴절만을 고려해 광학현상을 해석하는 방식이다. 선으로 표현된 빛의 궤적이 볼록렌즈나 오목렌즈를 통과하며 꺾이고 한 점에 모이는 그림을 물리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고등부 영어논술대상) -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or biochemistry.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less useful scientific fields including astronomy, mechanics, and
optics
had been developed until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late 18th centu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리뷰 레터스’ 표지논문으로 실렸다.이밖에도 인용횟수가 높은 ‘옵틱스 레터스’(
Optics
Letters)나 ‘피지컬 리뷰 A’(Physical Review A)와 같은 국제학술지에 4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단방향 발진 마이크로디스크 레이저 디자인은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단방향 발진 마이크로디스크 레이저를 설계하기 ... ...
폴리머'근육'이 천연색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로봇의 인공근육으로 텔레비전 화면의 색을 재현하는 기술이 개발됐다.지난 8월 21일 BBC는 스위스연방기술연구소의 안드레아 스테머 박사팀이 폴리머를 사용해 눈에 보 ... 낮췄다”며 이 기술이 곧 상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결과는‘옵틱스 레터스’(
Optics
Letters) 8월호에 실렸다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방해를 보정해 좀더 선명한 천문 현상을 관측 가능케한 ‘적응 광학’(AO, Adaptive
Optics
)이 선정됐다. AO는 초당 수백회씩 회전하는 얇은 거울을 이용, 대기의 ‘방해’를 반사시켰고, 그 결과 우리 은하 중심부에 거대한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우주배경복사’(CMB, Cosmic Microwave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수 있다.올해 1월 천문학자들은 지구 대기의 효과를 정밀하게 제거하는 적응광학(adaptive
optics
)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별 주위를 돌고 있는 천체를 직접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이 천체는 목성 질량의 약 60배 정도 되는 갈색왜성(brown dwarf)이었다.이제 머지 않아 행성을 직접 촬영하는 때가 올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위해 여러개의 거울을 서로 결합해 하나의 거대 거울 효과를 내는 적응제어광학(adaptive
optics
)이라는 기술을 적용하고,근적외선에서 최적화해야 하는 까다로운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몇 그룹에서 개념화와 기초 설계 작업을 하고 있다.아직 구체적인 모습은 나와 있지 않지만 유럽의 OWL ... ...
잘 보는 것은 뇌 때문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규칙적인 정렬과 관계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미국 로체스터 대학 ‘적응광학’(adaptive
optics
) 연구팀은 레이저 시스템으로 눈의 안쪽을 세밀하게 그려내는 과정에서 이러한 사실을 발견했다.원추세포에는 짧은 파장의 파란빛을 볼 수 있게 하는 S세포와 중간 파장의 녹색빛에 반응하는 M세포, 긴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라는 과학적 기대와 예견 때문이다. 학문적 흐름을 볼 때도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광학(
optics
) 위에 광자과학 광자공학 광자기술 등의 학술용어들이 생겨난 것도 최근의 일이다. 광자에 관한 지식 체계가 중요해지고 있다는 뜻이다. 과학철학자로 유명한 하버드대학의 토마스 쿤의 말처럼 과학기술의 ... ...
1
2
다음
공지사항